고대 유대인들은 사회 자체가 빛투성이에 유지가 불가능할때 채권자와 채무자의 자산및 채무를 동시에 없애는 "상계탕감"이라는 고육지책을 쓰는 경우가 있었다. 이 말은 빛을 가진 모든 이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그 채무를 가지고 있는 채권자들의 자산을 전부 없애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것을 현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주기적 버블 형성에 의한 대공황으로 해결했지만, 문제는 기업과 개인들이 맞탱이 가면 그곳이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정부의 채무/빛은 고스란히 누적적으로 쌓여만 갔다는 것이다... 내가 20세기 초반 대공황을 다시 생각하는 이유는 말이다... 21세기 대공황은 이제 개인과 기업의 부실을 정부가 감당하지 못하고 이 정부의 대규모 부도에 기인한 대공황이 온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이 정부가 가지고 있는 채무/빛의 문제는 중국도 마찬가지고... 대한민국도 예의는 아니다... 문제는 언제까지 이 정부계정의 채무/빛을 놔둘 것인가인데, 난 국채발행이 없는 중국보다는 국채발행을 허벌라게하는 미정부가 결국 가까운 미래 그들의 기업과 개인을 맞탱이 보낼 것이라는 것을 호언장담하고 있는 것이다... 암튼 유대인이상으로 금전에 빠끔히인 왕서방들이 계속 달러화 자산 특히 미국채를 계속 매도하고 있음을 예의주시하고요... 최근엔 일본도 동참하고 있다는 사실도 부언하고요... 미국채 양대 보유국인 이들은 달러화 자산을 줄일 수 있다면 어떻게해서든지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필독]거시적 긴축과 미시적 절약을 잃어버린 미경제... 결국 쌍둥이 적자의 누적이 가까운 미래 양키 코쟁이발 세계 대공황을 일으킬 것이라고 나는 호언장담한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779
혈맹이라는 미명하에 한국경제는 엉망으로 만들어놓고 지들 또한 국가부채, 정부빛에 허덕이면서 여전한 달러화 패권에 달러화 강세는 유지하고는 있는데, 미국은 자체가 부실 덩어리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763
이 기사에 수많은 오류가 보이네요^^ 국채가 없는 중국 경제위기는 과대평가됐고, 수많은 국채발행에 미국 경제위기는 과소평가되고 있는 중.. 조만간 미국채는 신흥국 채권 취급받는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677
더 이상의 금리인상은 없다는 동결을 연말까지 예상하는거 같은데, 기준금리보다는 국채금리부터 시중의 주요 금리지표들을 중심에 놓고 시장 대응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644
약은 노인네... 지도 단기물 위주로 매입하면서 미국채는 걱정거리가 아니라고...?? 나같으면 장기물은 사지 않는다... 중국의 대규모 미국채 매도를 예의주시하라
https://samsongeko1.tistory.com/12633
중국이 몇년째 미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있고 앞으로 급격히 줄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아이... 양키 코쟁이들의 달러를 찍어내 살아갈 수 있는 시대 말로는 대공황
https://samsongeko1.tistory.com/12630
주가지수가 계속 오른다...?? 기업의 가격도 인플레의 일종이다... 그러므로 금리인상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고 이 주가지수/기업가격이 급격히 꺽이면서 인플레도 진정된다는 가설이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596
미중 무역분쟁이후 수 년간 중국은 1조2000억달러에 달하던 미국채 보유를 지속적으로 줄여 이제는 1조달러 밑으로 보유중이고, 미경제 붕괴에 따른 미국채 폭락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https://samsongeko1.tistory.com/12473
2029년은 대공황 100주년... 내 볼때는 이런식의 부채한도 증액으로 양키 코쟁이들이 버틸 수 있는 시간은 몇 년 남지 않았고 미국채는 가까운 미래 신흥국 채권 취급을 받는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472
美 국채금리 급등에 연준 인사들 잇따라 기준 금리 동결 시사...
장기 시장 금리의 기준 역할을 하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고공 행진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연준) 고위 인사들이 금리 인상 필요성이 줄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시장 금리가 이미 크게 올라 사실상 기준 금리 인상 효과가 나고 있다는 것이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9일(이하 현지 시각)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회의 연설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추가 통화정책의 범위와 필요성을 주의 깊게 평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채권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금융 여건의 긴축 상황을 인식하고, 이 점을 향후 통화정책 경로를 설정할 때 염두에 둘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선 10년 만기 국채 금리 상승을 염두한 발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금리는 최근 연 4.87%까지 치솟으며 16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중동 분쟁 발발에 9~10일 금리는 소폭 안정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연준 내 매파로 분류되는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도
이날 같은 회의에서 최근 몇 달간 미국의 금융 여건이 “눈에 띄게 긴축적”이라고 지적하면서 “미국 장기 국채 금리가 계속 오른다면 기준 금리를 올릴 필요성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이 알려지면서 10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 시장 금리로 따진 다음 달 미국의 기준 금리 동결 가능성은 84.3%로 한 달 전(53.0%)이나 일주일 전(71.8%)보다 눈에 띄게 높아졌다.
조선일보 김 은정 기자
美국채금리 급락… 중동전쟁, 연준 금리인상 멈출 변수...
미국 국채금리가 크게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이 주요 변수로 안전자산 투자매력을 높이면서 다시 유동성이 미국으로 집중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국채시장에서 벤치마크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보다 13bp 이상 급락한 4.6%대를 기록하고 있다.
10년물 금리는 최근 4.8%대 후반까지 치솟았다가 고점 논란 후 10bp 가량 후퇴했는데, 연휴 기간 사이에 중동의 화약고에서 반세기만의 대규모 테러로 전쟁이 발발하면서 결과적으로 크게 밀리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금리하락(가격상승)의 근본적인 이유는 크게 2가지다.
먼저는 전쟁으로 인한 위기심리와 안전자산 회귀 움직임이다. 당초 미국 정부가 국채발행을 크게 늘리고, 중국과 일본이 미 국채를 외면하기 시작하면서 금리는 상승세를 탔다.
게다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11월 추가 금리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자 금리는 천정을 뚫을 기세로 급등했다. 채권왕 건들락이나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등이
10년물 기준 5% 이상의 금리를 우려하면서 군중심리까지 더해졌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은 중동 화약고의 폭발은 결국 기댈 곳은 미국 밖에 없다는 심리를 끌어내고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 나머지 서방자유세계의 국가들도 인플레이션과 러시아 위협으로 인해 여력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러시아와 중국, 북한이 궤를 같이 하는 가운데 이란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까지 팔레스타인을 두둔하는 상황이라 자유민주세계가 뭉치지 않으면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픽텟(Pictet) 글로벌 채권 책임자 안드레스 산체스 발카자르는
"중동에서 분쟁이 전개되면서 안전자산을 향한 도피가 일어나고 있다"며 "이 같은 외생적 충격이 미국 국채의 반등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두번째는 전쟁이 미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을 막을 거라는 기대감이다. 연준은 최근 금리가 더 오랫동안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될 거이라는 메시지를 밝히면서 긴축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에 사정이 달라졌다. 전쟁은 기존 예측의 전제들을 뒤집을 만한 큰 변수다.
전세계 에너지원의 과반을 대고 있는 오펙(OPEC)과 러시아가 전쟁 중에 놓이면서 일각에서는 근 반세기 만에 오일쇼크가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분위기에 미국이라고 계속 긴축을 외칠 수는 없는 일이다.
연준 관계자들도 이 분위기를 감지하고 있다. 댈러스 연준 총재이자 주목할만한 매파인 로리 로건은 10월 장기물 금리의 급격한 상승은 추가 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채권 펀드 매니저인 마이크 리델도 "7월 연준의 금리 인상이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의 성장이 앞으로 몇 달 동안 약화되지 않는다면 또 다른 금리 인상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최근 미국 당국에 채권금리 급등으로 인한 위협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글로벌 차입 비용의 지속적인 급등이 금융시장의 위험 증가를 촉발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선 투기적인 움직임도 있다는 지적이었다.
머니투데이 박 준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