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각 증권사 본사/지점 내 대학 선후배 랩어카운트 담당자들하고는 친해도 은행 프라이빗뱅커(PB)들은 아는 사람도 별로 없고 친하지 않네요^^ 그래도 들을만 하네... 참조하시고^^

 

美 충격 불구 "블랙먼데이 재현 없을 것"

 

삼성증권은 9일 미국 고용보고서 충격으로 코스피 하락 출발은 불가피하지만, 지난달 초 '블랙먼데이' 때의 저점을 뚫고 내려갈 개연성은 작다고 예상했다.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정보팀은 주간 보고서에서 "최근 시장 거래대금 급감에 미국 대선 토론과 선물 옵션 동시만기일을 앞두고 공격적인 매수세는 제한적일 수도 있다"면서도 "코스피가 지난 8월 저점을 위협할 가능성은 작다"고 예상했다. 지난달 5일 2,611.30에서 출발한 코스피는 장중 2,386.96까지 폭락했다가 2,441.55에서 장을 마감했다.이들은 미국의 8월 고용보고서상 신규 일자리 수는 예상을 하회했으나 실업률은 4.2%로 하락하는 등 지표는 나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어 "최근 인공지능(AI) 테크기업들의 실적 피크아웃(정점에 이른 뒤 상승세가 둔화하는 것) 우려와 레거시 반도체 수익성 둔화로 우리 시장을 견인할 대형 주도주가 없다는 점은 아쉽다"면서도 코스피가 주가순자산비율(PBR) 0.8배 수준인 2,400선에서 강한 하방 경직성을 갖고 있다고 봤다. 이들은 "지난 8월 초 급락 구간에서도 장중 2,400선이 붕괴했지만 2,441포인트까지 낙폭을 줄인 것이 이를 증명한다"며 "금주 코스피가 지난 8월 저점이었던 2,440포인트를 다시 테스트한다면 약 4% 내외의 하락"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급락이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것임을 고려하면 급락 이후 반등 가능성이 높으며, 다만 테크주 피크아웃 우려가 지속되고 있기에 반등 구간에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이들은 테크보다 바이오 업종을 선호 업종으로 추천하면서 "미국 생물보안법으로 한국 바이오 기업들의 반사 수혜가 기대되고 향후 금리 인하 사이클 수혜, 반도체·2차전지 등 주도 업종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성장 동력 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필독]국내에도 순다르 피차이 알파벳(구글 모회사) 최고경영자(CEO)가 한 명 더 있네^^ 어제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4’ 참여 임원들 보고를 받고 든 생각

https://samsongeko1.tistory.com/13482

 

지난주 금요일부터 다시 민족대명절 추석연휴 관계로 주요 운용역/애널리스트들에게 휴지기를 다시 부여하고 있는 중입니다... 당분간 '주식 안 처다보는게 답이다.'라는 생각에 말입니다... 연일 양시장 거래대금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고요... 시장 자체가 썰렁하고요^^ 이번주 참여권 사준 주요 사내 전문가들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4’에 보내 투자공부나 시키려고요... 그리고 한가위 새라고 보내 버림니다...

 

 

한마디로 설명한다... 어설픈 낙폭과대나 저점매수 적용하지 마시고... 이제는 월가도 여의도도 우상향 번개형으로 꺽여져 올라오는거 확인될때까지 주식투자 안하는게 답이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3479

 

“우리에겐 AI에 대한 과소 투자 위험이 과잉 투자의 위험보다 훨씬 크다” 최근 순다르 피차이 알파벳(구글 모회사) 최고경영자(CEO)가 한 말이다... 내 세상에 이런 멍청한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없다... 암튼 우량(?)주외에 게잡주 종목들안에서 종목별 관점, 개별주 논리, 선별적 대응만이 답인데, 이것도 종자돈 30%만 가지고 한다... 양시장 주도주들 반도체부터 체계적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다수 종목의 현주가 상단에 상당량의 매물대가 걸쳐져 있어 이것을 돌파하려면 시일도 시일이지만 강력한 모멘텀이 필요한데, 내 볼때는 미국의 대중 무역 규제 철폐말고는 답없다... 피벗(통화정책완화)은 이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유동성 장세를 준다는 것이 아님을 명심하시고요... 그 수익도 나지 않는 곳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 월가의 주요 매그니피센트 종목들은 이제 그 수익성 개선없이는 주가 상승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이미 맛탱이간 테슬라나 중국발 수요 침체에 고전중인 애플도 그렇고 삼전/SK하이닉스는 제가 해외출장전에 말씀드린대로 D램/낸드플래시에서의 공급 과잉이 제대로 해소되지도 않은 가운데 다시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의 수년간의 걸친 투자에 다시 반도체 공급 과잉 국면에 재진입했다고 보시면 된다...

 

엔비디아 안 처다본지 쫌 됐습니다... 그 액면분할이후부터인거 같은데, 이건 삼전의 액분과 같이 초우량주의 게잡주화 조치... 당분간 처다볼 생각도 없고요^^ 반도체 공급 과잉.

https://samsongeko1.tistory.com/13468

 

몇 년전에도 보고서로 SK하이닉스를 폭락시키더니 별 감흥도 없는 보고서를 이번에 또...?? 그나저나 모건스탠리 인터내셔널 회장 부부가 실종됐다...?? 빠져 죽은거지 뭐...

https://samsongeko1.tistory.com/13442

 

그 직접 개입형 과외서비스 이용자들인 부외계좌 고객들의 하계운용은 3일로 끝냈고, 장기대박계획(LMOI) 주/부계좌, 자산운용과 회사/고객계정 하계운용도 1주일만에 끝낼 예정이고요... 자산운용과 해외파트 3개팀들도 이번주에 하계운용은 마감합니다... 제가 현재 GPMC 전국지방순행중이라서리 적극적인 투자보다는 내부 정비에 주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금리인하전까지는 적극적인 투자운용보다는 소극적인 계좌(투자)관리에 진력하고 싶네요^^ 이상하게 국내도 그렇고 해외도 그렇고 다시한번 이번달 5일같은 붕괴가 다시한번 진행될꺼 같다는 직감이 저를 지배하네요... 현재 국내외 주요 자산(투자)운용은 현금 60% vs 주식 40%가 적당한거 같습니다... GI 자산운용본부장님에게도 GPMC 트레이딩센터장에게도 GI 자산운용본부내 파생상품과에도 과도한 포지션은 자제하고 현금비중 확대에 방점을 두라고 했습니다... 금/부동산/문화(예술)/인적자산등 실물자산 투자를 하는 대체투자과만 예외입니다... 제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나 과외서비스는 제가 주도하니 이곳도 별외네요^^

 

“우리에겐 과소 투자 위험이 과잉 투자의 위험보다 훨씬 크다” 최근 들었던 말중에 가장 멍청한 소리였다... 아직은 쓸모도 없는 AI 투자, 반도체 생산이 또 다른 공급 과잉을...

https://samsongeko1.tistory.com/13398

 

 

투자키워드는 '채권·반도체·AI'… '안전 7, 공격 3' 포트폴리오 구성...

[돈이보이는창]4대은행 PB 금리 인하기 투자전략

4분기 중 '무조건 금리인하' 예상...

9월부터 매분기 25bp씩 3번 내릴듯...

변동성 클 땐 단기·장기채 동시투자...

국내채권보다 미국채 비중 확대 추천...

연말까지 적정 목표수익률은 +6~+9%...

美 대선, 누가 돼도 시장 영향 미미...

 

 

각 은행의 주요 PB들은

 

4분기 중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일제히 내다봤다. 인상 폭은 25bp(1bp=0.01%포인트) 정도다. 미국의 금리 인하 폭과 시기, 횟수가 관건이지만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정 성진 KB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부센터장은 10일 “이달 중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한국은행도 10월 또는 11월 인하에 나설 것”이라며

 

“한국은행은 9월부터 실시 예정인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에 따른 가계대출, 부동산 시장 안정 여부 등을 점검한 후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보이고 인하는 1회 정도, 인하 폭은 25bp 정도”라고

 

예상했다.

 

김지영 하나은행 서압구정골드클럽 부장은 “4분기 중 1회 이상”으로 내다봤고, 김도아 우리은행 TCE시그니처센터 팀장은 “9월부터 매 회기 때마다 25bp씩 3번 인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4분기 중 무조건 금리 인하… 채권투자 주목해야...

 

PB들이 가장 추천하는 재테크 상품은 채권이었다.

 

김지영 부장은 “국채금리는 금리 인하 가능성과 경기 후퇴에 대한 시장 반응을 반영하기 때문에 금리민감도에 따른 듀레이션(현재가치를 기준으로 채권에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해 양 방향에서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추천했다.

 

김도아 팀장도 “국내 채권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일정부분 선 반영됐고 절대 금리 역시 미국보다 이례적으로 낮아 미국채 비중을 더 높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주식형 펀드를 추천하는 의견도 있었다.

 

김대수 신한은행 WM추진부 ICC팀장은 “그동안 섹터 위주 펀드가 유행이었다면 앞으로는 같은 섹터 안에서도 종목 간 성과 차이가 클 것이라고 본다”며

 

“국내 반도체 투자도 반도체 ETF보다 SK하이닉스 보유 비중을 높게 가져갔던 편드가 실적이 더 좋았다”고 언급했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주식은 미국 쪽으로 하되 개별종목보다는 미국의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또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추천한다”며

 

“일시에 많은 금액을 넣지 않고 적립식 또는 분할해서 매입 후 목표 수익률에 도달하면 해지하고 다시 적립식 또는 분할해서 접근하는 보수적인 방법이 변동성이 높은 현 시장에서 적합한 투자 방법이다”고 조언했다.

 

피해야 할 투자상품으론 △국내개별주식 △중국투자상품 △주거용 부동산 등을 꼽았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국내 개별 주식은 개인 투자자가 접근하기에는 변동성과 선호 업종의 트렌드 변화, 기관과 외국인 매매 동향 등 따라가기 어려운 수준이 됐다”고 분석했다.

 

안전투자 60~70% 공격투자 30~40%… TSMC ‘원픽’

 

포트폴리오 구성 시 적정 안전자산과 공격적 투자자산과 각각의 비중은 각각 60~70%, 30~40% 정도가 적당하다고 PB들은 판단했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당장 찾지 않을 여유자금만 투자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고 안전자산 70%, 투자자산 30%의 투자포트폴리오를 가져가는 게 적절하다”고 추천했다.

 

김대수 팀장은 “유동성 및 채권 등 안전자산의 비중을 40%, 주식과 대체 투자 동 공격적 투자자산을 60%로 가져가는 게 나을 것으로 보인다”며 “주식은 미국 및 반도체 지수 동에 50%, 국내 50% 비중으로 투자하길 권한다”고 했다.

 

김도아 팀장은 안전투자 비율로 주식 25%, 채권 50%, 예금 20%, 원자재(금) 5%, 공격투자는 주식 52%, 채권 23%, 예금 17%, 원자재(금) 8%로 제시했다.

 

빅테크 중심 성장 증시에서 하반기 눈여겨봐야 할 세부 업종과 종목 역시 반도체와 AI였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반도체·AI주는 최근 큰 폭의 하락으로 밸류에이션이 개선된 만큼 분할해서 매입하고 이후 목표 수익률에 도달하면 이익 실현을 하는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영 부장은 ‘TSMC’를 ‘픽’했다.

 

김 팀장은 “엔비디아, AMD, 아마존, 애플 등이 TSMC에 생산을 맡기고 있다”며 “세계 각지에 생산 거점을 마련해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는데 삼성전자와 인텔이 추격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도아 팀장은

 

“헬스케어, 바이오텍 업종을 선호하고 기술 성장주는 상반기에 비대해졌던 부분을 일부 덜어내야 한다”고 답했다. 11월 미국 대선에서는 누가 되든 크게 연연하지 말고 포트폴리오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도아 팀장은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된다면 금융주, 에너지주가 힘을 받을 것이고 중국 관련 제재가 심해질 것이다”며

 

“하지만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도 대선 예측이 틀리기도 했었고 선거결과에 따른 시장 영향도 실질적으로 미미했다. 오히려 선거관련 악영향으로 조정을 받은 종목 섹터를 저가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김대수 팀장은 “재정지출 기대로 미 대선 전후 주식시장 대부분이 상승했다”며 “이번에도 연 5~6% 수준의 순 지출을 예상하고 있고 미 대선 수혜 섹터로 헬스케어, 금융, 전통 에너지, 방산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PB들은 연말까지 적정 목표수익률은 연 6~9% 정도라고 봤다. 정성진 부센터장은 “채권은 정기예금의 1.5배, 주식형은 정기예금의 2배 정도로 생각한다”며

 

“채권 목표수익률을 정기예금의 1.5배인 약 5~6%를 목표로 둔다면 손실 즉 마이너스 5~6%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정 병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