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국내는 상모질이 정권이 하도 대기업 위주의 정책을 중심으로 하니 모험정신에 입각한 스타트업 창업 시장도 죽이고 있는 중... 요즘 근성 있는 젊은이들은 다 게임방에서 죽때리고요.

 

글로벌 VC, 폐쇄형보다 개방형 인공지능에 베팅...

머스크 'xAI'·미스트랄AI 등...

개방형에 2년간 10조원 투자...

MS등 빅테크는 폐쇄형 선호...

 

 

유망한 정보기술(IT)을 먼저 알아보는 글로벌 벤처캐피털(VC)은 폐쇄형 인공지능(AI)이 아니라 개방형 AI를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개방형 AI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며 시장 분위기가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빅테크는 폐쇄형, VC는 개방형으로 주력 투자 기업이 엇갈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4일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2022년부터 최근까지 글로벌 VC는 개방형 AI 스타트업에 75억달러(약 10조3215억원)를 투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가 지난 5월 확보한 60억달러(약 8조2572억원)가 가장 큰 규모의 투자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VC인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세쿼이아캐피털, 피델리티매니지먼트앤드리서치컴퍼니 등이 투자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AI 기업 미스트랄AI는 같은 시기 투자금 12억달러(약 1조6516억원)를 확보했다. 이 회사 역시 개방형 LLM을 만들고 있다. 개방형 LLM을 개발하는 이미지 생성 AI 기업 스태빌리티AI와 세계 최대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는 각각 1억8700만달러(약 2573억원), 1억달러(약 1376억원)를 투자받았다. 같은 기간 폐쇄형 AI 기업에 투입된 VC 자금은 48억달러(약 6조6105억원)로 집계됐다. 앤스로픽(23억달러), 코히어(8억4500만달러), 오픈AI(8억달러) 등 최근 주목받는 LLM 개발사에 투자금이 몰렸다. 무스타파 슐레이만 구글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가 설립한 인플렉션, 캐릭터 AI 챗봇으로 유명한 캐릭터닷AI 등도 1억달러(약 1376억원) 이상을 유치했다. 폐쇄형 AI ‘투톱’으로 꼽히는 오픈AI와 앤스로픽엔 상당한 자금이 몰렸지만 대부분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구글 등 빅테크가 주도한 투자였다. 개방형 AI와 폐쇄형 AI는 비즈니스 모델이 다르다. 폐쇄형 AI 개발사는 관련 기술과 수익을 독점한다. 고객사에 AI 기술을 제공하고 사용료를 받는다. 개방형은 외부에 핵심 AI 기술을 공개한다. 미스트랄AI는 LLM 자체를 무료로 배포하는 대신 LLM 활용 컨설팅 등으로 돈을 번다. 업계 관계자는 “GPT 같은 폐쇄형 AI만 알려졌다가 메타의 LLM 라마가 처음 개방형으로 나왔고, 꽤 괜찮은 성능을 입증하면서 개방형 LLM 수요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것도 되먹지 않은 소리... 낙수효과가 사라진 21세기에는 재벌 대기업들은 지들이 알아서 한다... 내수 경기 활성/고용 유발 효과가 큰 강소(중소)/벤처기업 육성책 도모해야.

https://samsongeko1.tistory.com/13239

 

글로벌로 놀아야하는 21세기에 더이상 독과점구조를 비판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전문경영인에 의한 혁신이 아닌 여전히 재벌2세/3세로 돌아가는 한국 재벌들을 대개혁해야 한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3111

 

정말로 한가하네요... 다시 상모질이라 부르고 있는 윤씨와 선대 회장들과는 다른 모습들을 보이고 있는 재벌 2/3세들... 선대 회장 이 건희나 고 이 병철을 기대안한지 오래됐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971

 

내가 재벌을 인정하는 곳은 딱 하나다... 수 많은 장비/부품/소재기업을 중견/중소 강소기업으로 키워냈음을 안다... 미흡하고 여전히 탈불법의 니들만의 성을 쌓고 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0480

 

 

글로벌 AI 유니콘 219社… 韓 기업은 '제로'

1분기 6곳 추가… 美가 3곳 배출...

구글·메타서 인턴한 中 양지린...

1년도 안 돼 25억弗 문샷AI 키워...

韓 AI 스타트업 투자 3.6배↑

리벨리온 '韓 1호 유니콘' 거론...

 

 

한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의 기술 수준이 선진국 스타트업에 밀리는 모습이다.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사)은 200곳이 넘지만, 이 중 한국 기업은 한 곳도 없다. 올해 들어 이탈리아와 인도 등에서 AI 유니콘 기업 6곳이 등장한 것과 대조적이다.

 

中 문샷AI는 창업 1년 만에 유니콘...

 

26일 글로벌 스타트업 분석업체 CB인사이츠에 따르면 올 1분기 유망 AI 스타트업 6곳이 유니콘 기업 반열에 새로 올랐다.

 

절반은 미국 기업으로 피규어AI, 투게더AI, 일레븐랩스 등이다. 중국(문샷AI), 이탈리아(벤딩스푼스), 인도(크루트림)도 AI 유니콘 기업을 1곳씩 추가했다. 지난 1분기 기준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은 총 219곳이다.

 

올해의 ‘신데렐라’는 지난해 4월 출범한 문샷AI다. 이 회사는 창업 1년도 되지 않아 유니콘 기업에 올랐다. 구글과 메타 등에서 인턴으로 일한 양지린이 세운 회사로 AI 챗봇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 기업가치는 올 1분기 13억달러(약 1조7732억원)에서 최근 25억달러(약 3조4100억원)로 증가했다. 중국 대표 빅테크인 알리바바가 이 회사 주식의 36%를 보유 중이다.

 

지난 1분기 글로벌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131억달러(약 17조8618억원)로 1년 전(175억달러)보다 25.1% 감소했다. 다만 1억달러(약 1364억원) 이상 ‘메가 라운드’ 투자 건수는 같은 기간 11건에서 22건으로 두 배로 늘었다.

 

AI 투자에서 ‘부익부 빈익빈’이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가장 많은 자금을 쓸어 담은 곳은 미국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스타트업 앤스로픽(35억5000만달러)이었다.

 

한국 AI 유니콘 기업 후보군은?

 

한국에는 아직 AI 유니콘 기업이 없다.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한국보다 작은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에도 AI 유니콘 기업이 있는 것과 비교된다. 한국을 대표하는 유니콘 기업은 대부분 정보기술(IT) 플랫폼을 접목한 소비재 기업이다.

 

컬리, 무신사, 직방, 야놀자 등이 대표 사례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오픈AI나 프랑스 미스트랄AI 같은 국가대표급 AI 기업을 키우려면 국가적 지원과 인재, 인프라, 자본 시장 등 여러 조건이 맞물려야 한다”며 “한국은 AI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자본 시장은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스타트업 분석업체 더브이씨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3268억원으로 1년 전(898억원)보다 3.6배로 증가했다.

 

국내 금융권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관계자는

 

“지금 유망 AI 스타트업에 투자하지 못하면 기회를 놓친다는 분위기가 VC업계에 팽배해 있다”며 “정부와 기관 등 펀드 출자자(LP)도 AI 스타트업 등 딥테크 투자를 강하게 독려한다”고 설명했다.

 

AI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스타트업 리벨리온,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사 업스테이지 등이 AI 유니콘 기업 후보로 거론된다.

 

리벨리온은 지난 1월 1650억원의 추가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기업가치가 8800억원으로 커졌다. 업스테이지는 지난달 1000억원 규모의 시리즈B(사업 확장 단계)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가치는 5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한국경제 김 주완 기자

 

 

"요즘 누가 스타트업 만드나요"… 젊은 인재들 몰려간 곳이...

투자 건수 1년새 40% 급감...

'창업자 기근'… 초기 벤처 보릿고개...

 

 

초기 벤처 시장이 움츠러들고 있다. 주요 벤처캐피털(VC)이 안정적인 후기 투자에 집중하면서다. ‘창업 열풍’이 꺾이며 베팅할 가치가 있는 초기 창업팀 수가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벤처투자 분석 플랫폼 더브이씨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시드 투자(극초기 투자) 총액은 765억원으로 2022년(2064억원)과 작년(1298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투자 건수도 2022년 상반기 457건에서 2023년 286건, 올해는 163건으로 쪼그라들었다. 시드 단계에서 거액의 투자를 받는 스타트업도 자취를 감추는 모양새다.

 

2022년 상반기에 이스크라(420억원) 등이 큰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지난해에도 디오리진(133억원) 등이 주목받았지만 올 상반기 100억원이 넘는 시드 투자를 받은 곳은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가 설립한 아이즈엔터테인먼트(160억원)뿐이다. 한 초기투자사 관계자는 “스타트업을 만들겠다는 대학생들이 없어 쫓아다니며 창업을 권유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확 식은 창업 열풍… VC '벤처 찾아 삼만리'

초기 투자사, 대학 찾아 권유… 심사역이 발로 뛰며 회사 발굴...

 

벤처 투자사들이 후기 투자에 집중하면서 초기 스타트업 투자시장이 쪼그라들고 있다. 투자가 위축되니 창업에 나서는 인재가 줄고, 유망 창업팀을 찾지 못해 계획된 투자까지 포기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모양새다.

 

○ 초기 투자 비중 하락...

 

18일 업계에 따르면 호황기에 초기와 중후기 투자를 모두 진행한 대형 투자사들은 최근 들어 회수 가능성이 높은 후기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 시드 투자 규모는 765억원으로 전년(1298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시리즈A까지 들여다봐도(시드~시리즈A) 9264억원으로 전년(1조2757억원)보다 감소했다. 2022년 이후 80%대 안팎을 유지했던 초기 투자 비중은 올해 76%까지 떨어졌다.

 

벤처 혹한기에 리스크가 큰 초기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회수가 가능한 후기 스타트업에 돈이 몰린 영향이다. ‘벤처 투자의 꽃’이라고 불렸던 초기 투자가 주춤하면서 벤처 생태계가 움츠러들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벤처캐피털(VC)업계 관계자는 “예전엔 창업 후 유니콘기업으로 성장시킨 선배나 동료를 보고 창업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지금은 명확한 롤모델이 없다”며 “움츠러든 초기 투자를 다시 살릴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의 분위기가 바뀌면서 과거보다 스타트업 창업이 힘들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등 딥테크 영역은 진입장벽이 높아 기술력 없이 뛰어들기 쉽지 않다. 플랫폼 영역은 기존 플레이어들이 선점하고 있어 비집고 들어갈 공간이 좁다.

 

업계 관계자는

 

“학창 시절 ‘S급 개발자’ 소리를 듣던 젊은 인재들이 스타트업 창업 대신 빅테크 취업을 택하고 있다”며 “아이디어가 좋은 스타트업도 요즘 같은 분위기에선 살아남기 힘들다는 비관론이 확산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 ‘창업자 기근’ 시대...

 

초기 투자에 집중하는 투자사들도 고민이 많다. 창업 희망자 자체가 줄어서다. 카카오벤처스는 앱스토어에 등록된 앱의 관심도·이용도 변화를 자동으로 감지해 투자팀에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투자할 만한 초기 창업팀을 찾기 위해서다. 회사 관계자는

 

“특정 영역을 찍은 후 관련 팀을 찾는 ‘톱다운’ 방식으론 유망 창업자를 발굴할 수 없다”며 “심사역들이 미국 대학교 등 인재가 있는 곳으로 직접 찾아가고, 스타트업 채용 공고도 살핀다”고 했다.

 

또 다른 초기 투자사인 퓨처플레이는 국내외 대학에서 열리는 창업경진대회에 참석하는 횟수를 늘리고 있다.

 

은행권청년창업재단(디캠프)은 주요 대학 연구실을 방문해 창업을 권유한다. 투자 혹한기에 유망 창업팀 수가 줄면서 밑바닥부터 직접 찾아다니지 않으면 좋은 투자처를 발굴하기 어렵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의 스타트업 재직자 설문에서 창업 고려율은 2022년 58.0%에서 2023년 47.2%로 떨어졌다. 취업준비생의 창업 고려율도 51.0%에서 45.5%로 하락했다.

 

한국경제 고 은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