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 제약·바이오(Bio) 동향

9부 능선 코스닥(KOSDAQ) 900p 돌파의 주역은 2차전지/전기차, 반도체였다면 천스닥 돌파의 주역은 제약/바이오(Bio)가 될 것이다...!!!!! 바람이 심하게 부네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지난 3월29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의 사업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노골적인 자국 우선주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자국 내 바이오 제품 제조·생산을 강화하고 있어서다.

노 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지난 3월29일 열린 취임 기자회견에서 제약바이오헬스 혁신을 위한 키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 적벽대전을 앞두고 제갈공명이 기다리고 있었던 "동남풍"을 저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을 앞두고 말입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32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을 시행하려면 하여튼 제약/바이오(Bio)주들에서 동남풍이 불어야합니다... 이번주부터 바람이 불긴 부는데 말입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13

 

 

바이든 손바닥에 놓인 K-제약바이오...

[머니S리포트-바이오도 '메이드 인 아메리카'②] 미국 공장 검토하는 셀트리온… 중국산 원료의약품 대책 없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지난 3월22일 5년 내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최소 25%를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는 바이오기술·제조 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9월 바이든 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자국 내 바이오 제품 제조·생산을 강화하는 '바이오 제조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우려했던 전체 의약품의 미국 내 생산에서 원료의약품으로 그나마 범위가 좁혀지면서 직격탄을 피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100일 이내에 이뤄지는 추가 이행계획 발표에서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업에 즉각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사업전략 방향성은 계속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바이든 행정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의약품의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할 경우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들로선 타격이 불가피하다. 중국산 원료의약품을 활용해 완제품을 만든다면 미국 진출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결정' 따르겠다는 서정진, 왜?

최근 경영 일선으로 복귀한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바이든 행정부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서 회장은 지난 3월29일 열린 경영 복귀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미국 내 생산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공식 언급했다.

서 회장은 "바이오도 미국 내 제조를 강조하고 있고 아직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시너지가 생길 수 있는 부분에 대해 피할 이유가 없다"며 "셀트리온의 제품이 미국에서 9000억원 정도 팔리고 직판 체제인 만큼

가이드라인이 나온다면 미국 행정부의 정책을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서 회장의 수용 의사는 바이든 행정부가 펼치는 자국 우선주의 행보가 굳혀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을 통해 자국 우선주의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특히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인해 한국 기업이 피해를 보는 상황에 직면했다.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기업에 대해 중국에서 10년 동안 공장 시설과 확장을 제한하는 안전장치 조항을 만든 게 대표적이다.

바이든 행정부 기조 맞추는 기업들...

국내 주요 바이오 기업들 대부분 바이든 행정부의 영향권에 놓여 있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조사 대상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15곳 중 미국 내 생산 거점을 보유한 곳은 단 5곳뿐이다.

국내에서 생산시설을 늘려오던 K-제약바이오가 바이든 행정부의 선택으로 사업 자체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미국 내 기업 인수나 합작법인(JV) 설립 등 다양한 검토가 이뤄지는 이유다.

대표적으로 CDMO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에서 거점 확보에 나설 것으로 예측된다. 해외 진출 시간과 비용을 아끼기 위해 미국 직접투자나 인수합병 등의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기술개발 총책임자인 김훈 최고기술책임자(CTO)를 글로벌 연구사업개발(R&BD) 대표로 내세우며 미국 중심의 글로벌 사업과 연구개발, 생산 전략 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영향권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기업도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월 미국 시러큐스에 위치한 글로벌 제약사 BMS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를 완료했다.

이미 미국 내 생산 기반을 마련한 만큼 부담감은 덜어낸 상태다. 이와 함께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시러큐스 공장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해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SK팜테코는 지주사 SK가 2020년 글로벌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설립된 통합 CDMO 법인이다. 현재 운영 중인 글로벌 법인은 총 4개로 미국에선 앰팩과 CBM을 통해 생산기지를 확보했다.

의존도 높은 중국산 원료의약품...

중국산 원료의존도가 높은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고심을 하고 있다.

중국산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은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질 수 있어서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최근 취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정책은 반도체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 경우 국내 제약회사가 중국 원료를 쓰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원료 수입은 가능하더라도 수입된 원료로 만든 제품의 미국 수출이 힘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원료의약품 시장은 중국과 인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1년 전체 원료의약품 수입액은 20억9285만달러로 중국에서 7억4023만달러 규모를 수입했다. 비중은 35.4%다.

2위 수입국인 인도는 2억2535만달러 규모다. 같은 기간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24.4% 수준이다. 미국이 의약품 수출에 중국산 원료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한다면 국내 의약품의 미국 진출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