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그 적벽대전을 앞두고 제갈공명이 기다리고 있었던 "동남풍"을 저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을 앞두고 말입니다...

 

2차 전지/전기차, 반도체 소부장도 좋지만, 그 코스닥(KOSDAQ) 주력 제약/바이오(Bio)주 같이 보고 계셔야 합니다.. 지아이이노베이션, 오스코텍, 보로노이 분위기 좋네요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27

[필독]그 코스닥(KOSDAQ) 투자는 기업공개시장인 IPO 동향부터 그 밑바닥이자 비상장 기업 동향인 Pre-IPO 동향까지 파악하시고 시작하시라고 했습니다아이~~~ 기본이라고요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14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을 시행하려면 하여튼 제약/바이오(Bio)주들에서 동남풍이 불어야합니다... 이번주부터 바람이 불긴 부는데 말입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13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을 시행하려면 하여튼 제약/바이오(Bio)

계속 코스닥(KOSDAQ)에 집중하시고 2차전지및 전기차 업종및 업태내 주요 종목별 관점, 개별주 논리, 선별적 대응에 집중하신다... 주요 제약/바이오(Bio)주는 포기한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31

samsongeko1.tistory.com

 

 

美·中 바이오 패권전, 일본까지 '꿈틀'

[머니S리포트-바이오도 '메이드 인 아메리카'①] '고래' 미·중 바이오 전쟁에 '새우' 한·일 전략은...

 

 

세계 의약품 시장이 반도체를 뛰어넘었다. 2021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1666조원으로 반도체 시장(740조원)의 2배가 넘는다. 2027년이 되면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2307조원으로 2021년보다 38.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에 이어 바이오에서도 자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의지를 내비쳐 중국과 충돌이 예상된다.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 중국의 '고래' 틈바구니에서 '새우'로 생존하기 위한 바이오산업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예전의 내가 아냐' 中, 바이오 주도권 잡기 신호탄...

중국은 그동안 미국과 유럽 등 의약품 선진국보다 역량이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런 중국이 2022년 5월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바이오산업에 관한 중장기 계획인 '바이오경제 14·5 계획'을 내놓으며

글로벌 바이오 패권 전쟁의 불씨를 당겼다. 4대 목표과제 ▲바이오경제 혁신기반 강화 ▲바이오 중점산업 ▲바이오 자원보호 활용 ▲바이오분야 정책환경 최적화 등을 내용으로 한다.

중국은 차세대 치료제인 세포유전자치료제 부문에서 미국과 유럽과 격차를 거의 좁혔다는 통계도 나온다.

제3세대 항암제로 주목받는 카티세포(CAR-T세포·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임상 시험을 2013년 처음 실시한 국가도, 2017년 기준 가장 많은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국가도 중국이다.

유전자치료제 임상 시험도 중국이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이 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패권전쟁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합성생물학에서는 중국이 미국에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호주 전략정책연구소(ASPI)의 발표를 인용해 중국은 합성생물학에 있어 세계 최고 10개 기관 중 9개를 보유하고 있고 합성생물학 관련 논문을 미국보다 3배 이상 많이 냈다고 소개했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인간에 관련된 세포 복제와 유전자 편집, 합성생물학 등의 바이오의약 기술수출을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하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8년이 되면 중국의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더욱 큰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美, 바이오도 '일등' 목표...

미국은 중국이 바이오경제 14·5 계획을 발표한 지 4개월만인 2022년 9월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중국에 순순히 글로벌 바이오산업 패권을 넘겨주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국방부, 에너지부, 농무부 등 각 부처별 전략을 바탕으로 미국 내 바이오산업 전반의 자국 내 생산 등을 강조하는 내용이 담겼다.

바이오 생산기반 구축에 10억달러(1조3000억원)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해 ▲생명공학 연구개발 ▲생명공학 소재 개발 등에 힘쓰며 총 20억달러를 투자할 방침을 밝혔다.

지난 3월 발표한 보고서 '미국 바이오 기술과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를 살펴보면 상무부는 "5년 내 합성생물학과 바이오 제조 역량을 구축해 모든 원료의약품(API)의 25% 이상을 생산할 것"이라며

"20년 안에 미국 내 화학물질 수요의 30% 이상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API의 해외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현재 세계에서 화학합성 기반 API 생산을 주도하고 있는 곳은 중국과 인도다. 인도는 미국의 우방국으로 분류되기에 사실상 API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것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韓 '물량공세'... 日 '바이오 대전환'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 중국의 바이오패권 전쟁 속에서 바이오산업 육성 기회를 엿보고 있다. 한국은 일단 물량공세를 통해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키운다는 입장이다. 지난 2월부터 잇따라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민관 합동으로 총 25조원을 연구개발(R&D) 자금으로 투입하고 1조원 규모의 K-바이오백신 펀드를 조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미국이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투입할 재원이 20억달러(2조6000억원)라는 점을 고려하면 경쟁국보다 뒤처진 바이오산업을 빠르게 일으키기 위해 돈을 쏟아붓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에서는 최대 경제단체 게이단렌이 지난 3월14일 정부에 바이오 기술로 환경 파괴와 자원 부족 등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바이오 대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게이단렌은 2022년 6월 바이오경제 위원회를 설립해 정부 당국자와 정책 수립에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게이단렌은 ▲재생의학 분야에서 유도만능 줄기세포(iPS세포)에 대한 응용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점 ▲바이오제조 분야에서 해양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과 미생물로부터 섬유 등을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한 점 등을 강점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생태계 조성과 가치 창출 ▲경제적 안정 확보 ▲글로벌 진출과 시장 선도 ▲컨트롤타워에 의한 정책 집중화 ▲국민 이해도 제고 등 5가지 전략을 실천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