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미국 경제는 더하네... 8700조를 퍼부었는데...!!!!! 니네 지난 몇 개월간 뭐한거냐... 월가 거품만 잔뜩 쌓은겨...??

그 다우(Dow)는 연초 코로나에 3만p 좌절... 나스닥 1만p도 맛만보고 코로나19에 꺽여... 오늘 새벽에 로빈후드들 곡소리 낫겠네요~~~

http://blog.daum.net/samsongeko/9884

월가나 국내 증시나 이 로빈후드(?)/동학개미들 없었으면 다우 12000p에 KOSPI 1000p 언저리였다니깐이~~~~~

http://blog.daum.net/samsongeko/9905

 

(지난글)그 주가지수는 3~6개월을 선반영하면서 움직인다고...??? 주요 자산가격(주가, 부동산), 아무튼 절대로 떨어지지말아야할 그 무언가가 됐다...!!!!!

http://blog.daum.net/samsongeko/9543

(지난글)[필독]이 베어마켓랠리(이것도 거품이다)를 잠시 즐겨라~~~ 그러나 정신줄 놓지는 마시고요~~~

http://blog.daum.net/samsongeko/9420

(지난글)전세계 그 주가가 한국 부동산가격이상으로 절대 떨어지지 말아야할 그 무언가가 돼가고 있다고 보시면 된다... 그게 바로 거품(버블)이다...!!!!!

http://blog.daum.net/samsongeko/9199

 

전세계 그 주가가 한국 부동산가격이상으로 절대 떨어지지 말아야할 그 무언가가 돼가고 있다고

 [뉴욕마감] 美연준, 금리인하 기대 찬물... 다우 0.4%↓                      그 독약(양적완화) 주입은 계속되고 있고...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이 같이 버블 진행중~~~ 그 매크로 분석 포

blog.daum.net

 

떨고 있는 美 월가 "헬리콥터 머니 7월 소진... 고용·소비절벽 오나"

美, 5000억달러 급여 대출로...

中企·자영업 고용 떠받쳤지만...

내달 중순이면 대부분 고갈...

연방정부 실업수당도 곧 바닥...

추가 경기부양법 타결도 불확실...

"3분기 V자 반등 시나리오 흔들"

 

 

“우리는 계속 ‘V자’형 경제 회복을 전망한다. 이는 미국 의회와 행정부가 추가 경기부양책을 시행할 것이란 전제에 기반한다. 하지만 이런 전제엔 잠재적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모건스탠리의 공공정책 분석가인 마이클 지자스는 지난 17일 이런 분석을 발표했다.

미 연방정부의 경기부양 자금, 즉 ‘헬리콥터 머니’가 다음달께 끊어질 경우 3분기 경기 급반등 시나리오가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월가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경기부양 자금 소진 임박...

월가에선 그동안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50%(연율)까지 추락할 수 있지만, 3분기엔 30~40%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이런 ‘V’자형 반등 시나리오 속에 뉴욕증시는 3월 저점에서 40% 이상 상승했다. 5월 고용지표와 소매판매 지표는 이런 시나리오를 뒷받침했다.

지난달 예상을 뛰어넘는 251만 개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실업률도 4월 14.7%에서 5월 13.3%로 떨어졌다. 봉쇄 조치가 차츰 풀리면서 일시 해고됐던 근로자들이 대거 직장으로 돌아온 덕분이었다. 5월 소매판매도 전월 대비 17.7% 급증했다. 월간 사상 최고 기록이며, 예상(8%대 증가)보다 훨씬 좋았다.

하지만 18일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실업급여 청구 건수는 월가에 실망을 안겼다. 13일로 끝난 주간의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5만8000건 감소한 150만8000건(계절 조정치)이었다. 11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긴 했지만 예상(약 130만 건)보다 훨씬 많았다.

계속 실업급여 청구 건수도 6만2000건 감소하는 데 그쳐 2054만4000건에 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실업수당을 신청한 근로자 수는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여전히 엄청난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월가에서는 5월 고용지표의 ‘반짝’ 개선은 미 정부의 급여보호 프로그램(PPP)에 따른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 의회와 행정부는 3월 말 통과된 경기부양법(CARES법)에 따라 4월 말부터 PPP 대출로 약 5000억달러를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뿌렸다. 이 돈은 받은 지 8주 안에 75%를 급여로 소진하면 갚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PPP대출을 받은 약 400만 개 기업 및 자영업자들은 다시 근로자를 고용해 급여를 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제는 이 돈이 다음달 중순이면 대부분 소진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최근 의회가 규정을 손질해 8주를 24주로 바꾸고 소진율을 75%에서 60%로 낮췄지만 대부분의 대출액은 이미 지출된 것으로 관측된다. 미 정치권은 다양한 추가 부양책을 논의 중이지만 추가적인 PPP 논의는 없다.

추가 부양책 여부가 경기회복 관건...

소매판매의 빠른 증가세도 CARES법에 따라 1인당 1200달러(17세 미만은 500달러)를 나눠주고, 실업급여로 각 주정부가 지급하는 주당 300~700달러 외에 연방정부가 추가로 주당 600달러를 뿌린 덕분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돈도 다음달이면 고갈될 가능성이 있다.

1200달러 지급은 일회성이었고, 주당 600달러의 추가 실업수당 지급은 7월 31일 종료된다. 이런 부양책들이 종료된다면 미국의 소비와 고용은 다시 꺾일 수 있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은 17일 의회 증언에서 “의회가 기업과 가계에 대한 재정 지원을 너무 일찍 거둬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7월에 발생할지 모르는 이런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미 의회가 추가 부양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11월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으로 첨예한 논란이 빚어지는 만큼 통과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게 모건스탠리 분석이다.

지난 5월 15일 민주당이 3조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하원에서 통과시켰지만, 공화당이 지배하는 상원은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주당 600달러 추가 실업급여 연장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너무 많은 실업급여가 근로자의 직장 복귀를 막는다고 보고 있다.

대신 직장 복귀자에게 주당 450달러의 취업 보너스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미치 매코널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는 “차기 부양책은 최종일 것”이라며 “여름 휴회(7월 3~17일)가 끝난 뒤 부양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월가 관계자는 “미국의 고용은 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경제가 살아난다면 빨리 회복될 수 있다고 본다”면서도

“7월에도 소비와 고용이 살아나지 않으면 3분기 성장률 급반등 시나리오에 대한 의구심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2020.4.27](장관전평)주요국 정부의 각종 부양책/기본재난소득으로 채무처리/생활하면서 그 펜더멘털 게무시후 잉여자금으로 투기광풍이 불고 있는 중...!!!!

http://blog.daum.net/samsongeko/9630

 

(장관전평)주요국 정부의 각종 부양책/기본재난소득으로 채무처리/생활하면서 그 펜더멘털 게무

 (지난글)그 주가지수는 3~6개월을 선반영하면서 움직인다고...??? 주요 자산가격(주가, 부동산), 아무튼 절대로 떨어지지말아야할 그 무언가가 됐다...!!!!!  http://blog.daum.net/samsongeko/9543  [필독]이

blog.daum.net

美도 넉달 새 8조7000억弗 쏟아부어... "역대 최고 속도"

금융위기 때보다 2.4배 많아...

실물경제 유입된 것도 차이...

 

 

미국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풀었다. 미국 내에서 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발생한 지난 2월 하순 이후 지금까지 미 행정부와 중앙은행(Fed)이 경기부양을 위해 쏟아붓기로 한 돈만 8조7000억달러에 달한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3월에 1차 83억달러, 2차 1000억달러, 3차 2조2000억달러의 부양책을 통과시킨 데 이어 4월엔 4840억달러의 추가 부양책을 내놨다. 1~4차 부양책 규모는 약 2조8000억달러로, 지난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20조5000억달러의 13.7%에 달한다.

Fed도 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낮춘 데 이어 자산매입, 긴급 대출 등 양적완화를 통해 5조9000억달러의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같은 경기부양 행보는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교할 때 규모 면에서 훨씬 클 뿐 아니라 속도 측면에서도 압도적으로 빠른 것이다.

미 행정부와 의회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8년 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간 네 차례에 걸쳐 1조9550억달러의 부양책을 내놨다. 금융위기를 촉발한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위기가 처음 수면 위로 부각된 2007년 8월 이후 거의 1년반이 지나서야 2조달러 규모의 부양책이 마련됐다.

금융위기 때 Fed가 양적완화에 들어간 것도 2008년 12월부터였다. Fed는 이후 2010년 3월까지 양적완화를 통해 1조6500억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은 비슷한 점이 많지만 큰 차이가 있다”며 “바로 (경기부양) 스피드”라고 분석했다.

금융위기 땐 금융권의 부실 처리에 집중했기 때문에 부양자금이 주로 금융권을 맴돈 반면 코로나19 위기에선 상당한 현금이 실물경제로 흘러든 것도 차이점이다. 미 정부와 의회가 코로나19에 따른 셧다운(봉쇄) 충격을 줄이기 위해 개인에 대한 현금 지원, 중소기업 급여 지원 등을 대폭 늘린 결과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개인과 기업들의 ‘현금 확보’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미 CNBC는 지난 1월 코로나19가 미국에 처음 닥친 후 지난달까지 미국 은행의 예금 계정에 2조달러에 달하는 기록적인 현금이 유입됐다고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집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4월 한 달에만 예금액이 8650억달러나 늘었으며 이는 지난해 1년간의 예금 증가액보다 많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은행들도 경기침체를 맞아 선뜻 대출에 나서기 힘들다는 것이다. CNBC는 “은행들이 현금 홍수에 빠져 있지만 당장 보유한 현금을 갖고 할 일이 많지 않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