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다시한번 월가 사상 최고가...!!!!! 주요국 미국에 말려들어가고 있고요... 암튼 그 불난 집에 기름을 드리 붓네요~~~

 


 [뉴욕마감] 中, 미국산 관세 인하... 일제히 사상최고치...


 

                     

 뉴욕증시가 3대 지수가 일제히 사상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중국이 미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키로 했다는 소식에 나흘째 랠리가 이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에 대한 공포는 점점 옅어지는 모습이다.


 中, 90조원 미국산 관세율 절반 감축...


 6일(현지시간)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88.92포인트(0.30%) 오른 2만9379.77로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11.09포인트(0.33%) 상승한 3345.78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날보다 63.47포인트(0.67%) 뛴 9572.15로 마감했다.

 중국의 대미 관세 인하 소식에 대중국 수출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높아졌다. 이날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해 9월1일 부과한 750억달러(약 90조원) 규모 미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율을 오는 14일부터 절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관세율이 10%였던 상품은 5%로, 5%였던 상품은 2.5%로 낮아진다.

 중국 국무원은 "이번 조치가 미중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신규 실업자 1만5천명 줄었다... 9개월래 최저...


 미국의 신규 실업자 수가 또 다시 줄었다는 소식도 랠리에 힘을 보탰다. 미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0만2000건으로 전주 대비 1만5000건 감소했다. 시장 예상치의 중간값인 21만5000건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으로, 9개월만에 최저치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줄어든 것은 그만큼 고용시장 상황이 좋아졌음을 뜻한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3%대 중반으로 최근 50년 동안 가장 낮은 수준이다. 4주 평균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종전보다 3000건 줄어든 21만1750건으로 집계됐다.

 전날 미국 상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탄핵안을 최종 부결시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도 완전히 사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권력 남용’ 혐의에 대한 상원 표결에선 '무죄' 52표, '유죄' 48표가 나왔다. 공화당 의석 53석 가운데 '유죄' 투표를 사전 예고한 밋 롬니 상원의원만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방해' 혐의에 대한 표결에선 '무죄'가 53표, '유죄'가 47표였다. 공화당에서 이탈표가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민주당 주도로 지난해 9월24일 시작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는 마무리됐다.

 이번 탄핵 절차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군사원조를 조건으로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의 비리 의혹에 대한 조사를 압박했다는 ‘우크라이나 스캔들’이 계기가 됐다. 하원은 지난달 18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뒤 이를 상원에 넘겼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지만, 시장은 이 전염병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충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중국 전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누적 확진자는 2만8018명, 사망자는 563명에 달했다. 해외 누적 확진자는 218명이며 사망자는 필리핀에서 발생한 1명이다.


 OPEC+ 추가감산 권고에 WTI 0.4%↑




 국제유가는 혼조세를 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 산유국들의 추가 감산 가능성이 유가를 떠받쳤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WTI(서부텍사스산원유)는 전날보다 배럴당 20센트(0.4%) 오른 50.95달러에 마감했다. 반면 국제유가의 기준물인 4월물 브렌트유는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이날 밤 9시44분 현재 20센트(0.4%) 내린 55.08달러에 거래됐다.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OPEC(석유수출국기구)과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모임인 OPEC+의 기술위원회는 하루 60만 배럴의 임시적인 추가 감산을 권고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석유 수요 감소에 대응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기술위원회는 결정권을 가진 기구가 아니지만 OPEC의 좌장격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비회원 산유국을 대표하는 러시아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게가 실린다. 만약 OPEC+ 차원에서 하루 60만 배럴 추가 감산을 결의한다면 결정 시점까지 6월 전까지 효력이 이어질 전망이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도 올랐다.


 이날 오후 3시52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금은 전장보다 6.8달러(0.44%) 상승한 1569.60달러를 기록했다.


 미 달러화도 강세였다.


 같은 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 거래일보다 0.19% 오른 98.49를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등 주요 6개 통화를 기준으로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유럽마감] 中, 대미 관세 인하에 랠리... 스톡스 0.4%↑                     


 유럽증시가 나흘째 랠리를 이어갔다. 중국이 미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키로 했다는 소식이 주가를 밀어올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에 대한 공포는 잦아드는 모습이다. 6일(현지시간)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600은 전날보다 1.87포인트(0.44%) 오른 425.49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96.49포인트(0.72%) 상승한 1만3574.82,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52.78포인트(0.88%) 뛴 6038.18을 기록했다. 영국 런던 증시에서 FTSE100지수는 전날보다 22.31포인트(0.30%) 오른 7504.79로 마감했다.

 이날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해 9월1일 부과한 750억달러(약 90조원) 규모 미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율을 오는 14일부터 절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관세율이 10%였던 상품은 5%로, 5%였던 상품은 2.5%로 낮아진다. 중국 국무원은 "이번 조치가 미중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