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특집1]만취한 술꾼같기도하고 그 월가가 '원숭이(?)'가 되려고 그러나~~~ 다우(Dow) 3만p를 넘어서려고 한다.....!!!!!
http://blog.daum.net/samsongeko/8915
[김 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신종 코로나에도 美 경기지표가 개선된 이유...
미국의 1월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좋게 나오고 있습니다. 뉴욕 증시가 이번 주 지속적으로 반등하고 있는 배경에는 이런 경기 개선에 대한 희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는 가운데, 미국은 왜 이런 경기 개선 기대에 들떠 있을까요?
5일(현지시간) 발표된 ADP 1월 민간고용은 29만1000명이나 증가했습니다. 2015년 5월 이후 월간 최대 증가 폭입니다. 시장 예상 15만명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지난 3일 발표된 미 공급관리협회(ISM)의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전월 47.8에서 50.9로 큰 폭으로 올라 다시 확장세로 전환했습니다.
작년 8월 위축 국면으로 떨어진 뒤 6개월만에 다시 확장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12월 공장재 수주 실적도 전월보다 1.8% 증가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것도 2018년 8월 이후 최대 증가 폭입니다.
월가 관계자는 "미중 1단계 무역합의로 인한 기대감이 경제 지표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류허 중국 부총리는 지난달 15일 백악관에서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습니다. 핵심은 중국이 2020년 1월1일~2021년 12월31일 사이에 미국산 상품을 (2017년 수입액에 더해) 추가로 2000억달러 어치를 더 사는 것입니다.
총 96쪽으로 구성된 합의문 중 총 26페이지(55~80쪽)에 중국이 사야할 미국산 상품의 액수와 구체적인 HS코드(수출입에 쓰는 관세코드)가 나열되어 있을 정도입니다. 월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중국의 수입액을 기준으로 2018~2019년 무역전쟁 기간 중국이 구매하지 않은 양을 더해 향후 2년간 추가 구매액을 정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중국은 내년까지 미국산 공산품 800억달러, 에너지 500억달러, 서비스 350억달러, 농산물 320억달러 등을 더 사야합니다.
지난 15일 공개된 이 목록을 본 미국 기업들은 어떤 행동을 취했을까요. 당연히 생산을 확대할 준비를 해야할 겁니다. 향후 2년간 확실한 '중국 특수'가 약속됐으니까요. 기계 등 공장재를 사고, 고용을 늘리고, 부품 소재 등의 구매도 확대하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그런 활동이 1월 제조업 PMI와 공장재 수주, 고용지표에 나타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문제는 갑작스런 신종 코로나 창궐로 오는 14일 발효될 이 약속을 중국이 지킬 수 있을 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블룸버그는 지난 3일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관리들은 코로나 사태를 감안해 미국이 1단계 무역합의 이행 약속에 대해 유연성을 보여주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경제 활동이 중단된 마당에 평소보다 훨씬 많은 수입을 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미국의 자세는 단호합니다. 블룸버그 보도 직후 미 무역대표부(USTR) 대변인은 중국의 구매 약속 변경 요청을 받지 않았다고 발표했습니다. 보도 이전인 지난달 29일에는 대중 강경파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국장은 신종 코로나가 중국 경제에 타격을 입혀도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유지하겠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제경제위원장은 지난 4일 "중국에서의 코로나 확산이 1단계 합의에 따른 미국 상품과 서비스 구매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출붐은 조금 더 지연될 수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영향은 있을 수 밖에 없겠지만, 틀을 크게 바꾸겠다는 어조는 어니었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중국이 구매액 변경을 공식적으로 요구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철회했던 관세 인상 카드를 꺼내는 등 다시 무역전쟁이라도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그 전에 뚜렷한 경제 성과를 보여줘야 하므로 중국에 관대해지기 어렵다는 겁니다.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P)는 “합의문에는 자연재해 조항이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해심이 있거나 너그러운 성향을 보일지는 불투명하다”고 보도했습니다. 뉴욕 증시 투자자들은 아직까지는 수입 약속 이행→경기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확산이 지속된다면 중국의 수입 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표 계산뿐 아니라, 투자자들의 머리 속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뉴욕마감]신종코로나 치료제 발견 기대... S&P 사상최고치...
뉴욕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에 대한 공포를 완전히 털어낸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가 발견됐다는 중국 언론의 보도에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최근 급락분을 모두 만회하며 사상최고치를 갈아치웠다. WHO(세계보건기구)는 이 같은 보도를 부인했지만, 시장의 기대를 꺾진 못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위주의 S&P 500 지수는 전날보다 37.10포인트(1.13%) 오른 3334.69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도 40.71포인트(0.43%) 상승한 9508.68을 기록했다. 두 지수 모두 역대 신고가 갱신이다.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483.22포인트(1.68%) 오른 2만9290.85로 마감했다.
고용지표 호조가 뉴욕증시의 3일 연속 랠리에 기름을 부었다. 이날 민간 고용동향 조사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에 따르면 지난달 민간 부문의 신규 고용 건수는 29만1000건으로 2015년 5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당초 시장이 예상한 15만건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2가지 약물, 신종 코로나 억제 효과"
그러나 결정적인 호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관련 소식이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중국 CGTN 방송은 저장대학교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 2가지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리란주안 저장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실험을 통해 아비돌(Abidol)과 다루나비르(Darunavir)라는 2가지 약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내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리 교수는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환자에 사용되는 항-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의 경우 효과가 없고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리 교수는 아비돌과 다루나비르가 중국 국립보건위원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팀의 또 다른 과학자인 첸주오빙은 "두 가지 신약은 의료진의 지시 없이는 복용해서는 안 된다"면서 "현재 저장 지역에서 이 두 신약은 이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에 사용되고 있고 효과가 적은 다른 약들을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WHO "아직 알려진 치료제 없다"
하지만 타릭 야사레비치 WHO 대변인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럼에도 이날 미국과 유럽의 주식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발견에 대한 기대로 일제히 올랐다.
이날 영국 스카이뉴스는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한국 질병관리본부는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하는데 성공했다며 이를 백신·치료제 개발 등을 위해 과학계와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0시 현재 발원지인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누적 확진자는 2만4324명, 사망자는 490명에 이른다.
"신종코로나 의료 지원 위해 8천억 모금"
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의료 지원을 위해 6억7500만달러(약 8000억원) 상당의 기금을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3개월 동안 국제사회가 기금 계획에 동참해주길 요청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지금 우리가 투자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지불해야 할 비용은 더 클 것"이라며 "기금 중 6000만달러는 WHO 운영을 위한 것이고 나머지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가들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WHO가 지금까지 24개국에 마스크 50만개와 인공호흡기 4만개를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또 WHO가 이끄는 전문 의료팀이 조만간 중국으로 파견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는 재단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와 치료, 백신 연구에 1억달러를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WHO 전문가들은 오는 11~12일 제네바에 모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진단과 치료약, 백신 등 연구개발에 대한 우선순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美무역적자, 6년만에 첫 감소... 대중국 적자 18%↓
미국의 무역적자는 2013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중국을 상대로 무역전쟁을 벌이는 동안 고율관세 때문에 수입이 급감한 결과다. 5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무역적자는 6168억달러(730조원)로 전년보다 1.7% 감소했다. 수출이 1.3% 줄어드는 동안 수입은 1.7%나 감소한 때문이다.
특히 대중국 무역적자는 3456달러로 17.6%나 급감했다. 미중 무역전쟁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대중 수입이 크게 줄었다. 그러나 무역적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오히려 둔화됐다. 2018년 2.9%에 달했던 미국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지난해 2.3%로 3년 이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트럼프 탄핵 피했다... 美상원, 탄핵안 최종 부결...
이날 워싱턴에선 미국 상원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탄핵안을 최종 부결시키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전히 사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권력 남용’ 혐의에 대한 상원 표결에선 '무죄' 52표, '유죄' 48표가 나왔다. 공화당 의석 53석 가운데 '유죄' 투표를 사전 예고한 밋 롬니 상원의원만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방해' 혐의에 대한 표결에선 '무죄'가 53표, '유죄'가 47표였다. 공화당에서 이탈표가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민주당 주도로 지난해 9월24일 시작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는 마무리됐다.
이번 탄핵 절차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군사원조를 조건으로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의 비리 의혹에 대한 조사를 압박했다는 ‘우크라이나 스캔들’이 계기가 됐다. 하원은 지난달 18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뒤 이를 상원에 넘겼다.
국회의 탄핵소추 이후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을 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하원이 탄핵소추를 하면 상원이 탄핵심판을 맡는다. 대통령이 탄핵되려면 상원에서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그러나 상원은 공화당이 전체 100석의 과반 이상인 53석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파면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관측돼왔다.
국제유가 5일만에 반등... WTI 50달러 회복...
국제유가는 5거래일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와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감산 가능성에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0달러선을 회복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1.14달러(2.3%) 오른 50.75달러에 마감했다. 전날까지 WTI는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종가 기준 50달러선을 내줬다.
국제유가의 기준물인 4월물 브렌트유는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이날 밤 9시57분 현재 1.46달러(2.7%) 뛴 55.42달러에 거래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OPEC과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모임인 OPEC+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마무리될 때까지 하루 평균 산유량을 총 50만 배럴 추가 감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일시적으로 일평균 100만 배럴을 감산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올랐다.
이날 오후 4시2분 현재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금은 전장보다 5.7달러(0.37%) 상승한 1561.20달러를 기록했다. 미 달러화도 강세였다. 같은 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 거래일보다 0.32% 오른 97.28을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등 주요 6개 통화를 기준으로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유럽마감] 신종코로나 치료제·백신 기대... 스톡스 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유럽증시가 사흘째 랠리를 이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치료제 또는 예방용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5일(현지시간)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600은 전날보다 5.15포인트(1.23%) 오른 423.62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96.59포인트(1.48%) 뛴 1만3478.33, 프랑스의 CAC 40 지수는 50.35포인트(0.85%) 상승한 5985.40을 기록했다. 영국 런던의 FTSE 100 지수는 42.66포인트(0.57%) 오른 7482.48에 마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중국 CGTN 방송은 저장대학교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WHO(세계보건기구)가 "아직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알려진 치료제는 없다"며 보도를 부인했지만, 시장은 기대감을 거두지 않았다. 한편 영국 스카이뉴스는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경기회복 소식도 지수 상승에 한몫했다. 이날 금융정보제공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유로존 국가들의 지난달 합성 PMI(구매관리지수)는 51.3으로 전월의 50.9에서 또다시 상승했다. 독일이 전월 52.9에서 54.2로 뛰며 유로존의 경기반등을 주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