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우린 매국적 토착 왜구들과 언론들 먹여살릴려고 쎄가빠지게 일해 세금 꼬박꼬박내고 있었던거네~~~

 


  NICA 공식논평 - 재한 일본인들과 조중동은 근신하고 주둥이 잘 놀린다...!!! 처 맞기 싫으면~~~                                                

 http://blog.daum.net/samsongeko/8269

 

 NICA 공식논평 - 이 재용씨, 그 적국에는 뭐하러 가는가... 뭐하러 가느냐는 말이다...!!! 삼성그룹과 중앙일보는 근신하고 주둥이 잘 놀린다...!!!

 http://blog.daum.net/samsongeko/8229


  


 한국당, 로고 노출 KBS 규탄 회견... "수신료 거부운동 시작"

 "KBS 노골적 선거개입..방심위 제소·민형사상 고발도"


 


 자유한국당은 19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범국민 수신료 거부 운동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한국당 의원 60여 명은 이날 KBS가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보도하는 뉴스 리포트에서 자유한국당 로고를 노출한 데 대해 "노골적인 선거개입 KBS는 즉각 해체하라"며 강력하게 항의했다.


 'KBS 뉴스9'은 전날 일본제품 불매운동 리포트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안 사요, 안 가요, 안 팔아요" 등 불매운동을 상징하는 문구 안 'ㅇ'에 일장기 그림을 넣었다. 이후 이어진 "안 뽑아요" 앞에는 자유한국당 로고를 사용했다.


 나 원내대표는 "KBS가 야당 탄압의 칼춤을 추는 홍위병 매체로 전락했다"며 "양승동 KBS 사장의 즉각 사임과 KBS 뉴스 청문회 실시 없이는 공영방송 정상화 투쟁을 결코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즉각 제소하고, 민형사상 고발조치를 취하는 등 법적 조치를 단계적으로 밟아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KBS 뉴스는 사망했다"며 "KBS 수신료 거부 운동을 펼쳐 분노하는 국민들의 민심을 똑똑히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당 'KBS 헌법 파괴 저지 및 수신료 분리징수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대출 의원은 "어제 KBS 뉴스9 시청률은 12.4%였고, 228만가구가 시청한 것으로 나온다"며 "명백한 편파방송이고, 정치개입 운동"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KBS는 한국당을 친일 프레임으로 왜곡하는 여론 선동 방송이자, 내년 총선까지 개입하려는 불법 편파방송"이라며 "보도 책임자 전원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신료는 국민에게 받지 말고 정권에게 받으라"고 비판했다.


 박성중 당 미디어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양승동 사장은 국회의 정식적인 상임위 출석 요구를 두차례나 거부했다"며 "입법·행정·사법부에 이어 KBS는 제4부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연혜 의원도 "청와대 외압이 없었다면 양 사장이 왜 국회에 나오지 못하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앞서 한국당 의원들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KBS 측으로부터 '시사기획 창' 재방송 불방 사태와 관련해 업무보고를 받으려 했으나 양 사장이 15일·19일 불출석하며 무산됐다.


 한편 KBS는 이날 공식 입장을 통해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 화제가 되는 있는 동영상(GIF) 파일을 앵커 뒤 화면으로 사용하던 중 해당 로고가 1초간 노출되면서 일어난 일"이라며 "사전에 이를 걸러내지 못한 점 사과 드린다"고 밝혔다.

  

 


 (종합)靑, 조선·중앙일보에 "진정 국민 목소리인가"... 공개 비판...

 고민정, 언론사 이례적 실명 비판... "원제목 바꿔 일본어판 제공"
 日 수출규제 사태서 여론전 악영향 우려한듯... "객관적·국익 시각으로 봐달라"
 "무엇이 우리 국민을 위한건지 답해야"... 조국도 SNS로 두 언론 비판...


 


 청와대는 17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국내 특정 언론사의 보도를 거명하며 "이게 진정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적인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고 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1일 시작된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는 오늘까지도 진행 중"이라며


 "우리 정부는 팽팽한 긴장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신중하게 한발 한발 내디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 정부와 소통으로 어떤 여파가 있을지 단기적 대책부터 근본 대책까지 논의에 논의를 거듭하고 있다"며 "국민은 각자 자리에서 각자 방법으로 우려 깊은 눈으로 바라보고, 정치권도 초당적 협력을 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언급했다.


 고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조선일보는 7월 4일 '일본의 한국 투자 1년 새 마이너스 40%, 요즘 한국기업과 접촉도 꺼려'라는 기사를 '한국은 무슨 낯짝으로 일본에 투자를 기대하나'로 원제목을 다른 제목으로 바꿔 일본어판으로 기사를 제공하기까지 했다"고 비판했다.


 고 대변인은 또 "(조선일보는) 7월 5일 '나는 선 상대는 악, 외교를 도덕화하면 아무것도 해결 못 해'라는 기사를, '도덕성과 선악의 이분법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로 (바꿔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7월 15일 '국채보상·동학운동 1세기 전으로 돌아간 듯한 청와대' 기사를 '해결책 제시않고 국민 반일감정에 불붙인 청와대'로도 바꿔 제공했다"고 했다.


 고 대변인은 "뿐만 아니라 조선일보는 5월 7일 '우리는 얼마나 옹졸한가'라는 한국어 제목 기사를, '한국인은 얼마나 편협한가'라는 제목으로 바꿔 게재했다"며 "이는 수출 규제가 시작되기 전인 5월 7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도 야후재팬 국제뉴스 면에는 중앙일보 칼럼 '한국은 일본을 너무 모른다', 조선일보 '수출규제, 외교의 장에 나와라', '문통 (문 대통령) 발언 다음 날 외교 사라진 한국' 등의 기사가 2·3위에 랭킹 돼 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가 일본어로 게재한 '닥치고 반일이라는 우민화 정책'이라는 제목의 칼럼도 거론했다. 고 대변인은 "그만큼 많은 일본인이 한국 기사를 번역한 이런 기사로 한국 여론을 이해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이 어려움에 처하고 모두 각자 자리에서 지혜를 모으려고 하는 때에 무엇이 한국과 우리 국민을 위한 일인지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대변인이 이처럼 특정 언론사의 보도를 거론하며 비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여기에는 해당 기사들이 객관적 시각을 담지 않았음은 물론 일본 경제보복 국면에서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청와대의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조국 민정수석 역시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일본판 기사 제목을 거론하며 "일본 내 혐한 감정의 고조를 부추기는 매국적 제목"이라며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청와대 대변인과 민정수석이 동시에 특정 언론사를 겨냥했다는 점에서, 청와대 내부에서 두 언론의 보도가 악의적이라는 판단에 강력한 '경고'를 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언론이) 지금 이 상황을 더 객관적 시각으로, 국익 시각으로 봐주길 바라는 당부의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수출 규제의 여파가 적지 않고, 내일 문재인 대통령은 여야 5당 대표와 회동하는 등 많은 사람이 이 부분을 해결하고자 지혜를 모으는 상황"이라며 "우리의 목소리, 즉 한국 국민의 여론이 뭔지를 (잘 알려내고) 우리가 이 일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한지 힘을 모아야 하는 때이다. 여기서 언론의 중요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목소리가 정말 (조선일보·중앙일보에 나온) 그대로인가"라며 "일본에서는 이 칼럼으로 한국 국민이 이런 여론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도 수많은 일본 언론을 보고 일본 국민의 판단을 간접적으로 해석한다. 일본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조선일보·중앙일보 보도로) 국민 목소리가 얼마나 정확하게 일본에 전달될지 묻고 싶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두 신문사의 입장을 요구하는 것인가'라는 물음에는 "대변인이 언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니 공개적으로 당부를 한 것이고, 입장을 낼지는 상대(조선일보·중앙일보) 쪽에서 결정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일부에서는 조 수석과 고 대변인이 비슷한 시기에 두 언론사를 비판한 것을 두고 청와대가 '작심 발언'을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서는, 이 관계자는 "조 수석이 SNS에 글을 올린 것은 개인 자격으로 올린 것이며, (대변인 발언과) 연관이 없다"고 했다.


 '해당 보도들이 문제가 된 지 며칠이 흘렀는데, 오늘 이런 입장을 표한 이유가 있나'라는 질문에는 "고 대변인은 어제 오전에 파악했으나 어제는 브리핑할 시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조 수석의 페이스북 활동이 옳다고 보느냐'는 물음에는 "개인적 의견 개진에 대해 청와대가 옳고 그름을 판단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고 대변인의 발언에는 문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것인가'라는 물음에는 "대변인이 늘 대통령의 말만 전달하는 것은 아니다. 언론사에서 오보가 나가는지, 국민에게 제대로 정보가 전달되는지 파악하는 것도 대변인의 업무"라고 답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일본의 추가 보복에 대한 대응책이 있나'라는 물음에는 "답답하시겠지만 지금 미리 말씀드리는 것이 해결책은 아닐 것"이라며 "기업과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답했다.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이른바 '1+1+α' 안을 청와대가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피해자들과 국민의 수용 정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피해자들이 100% 합의하는 사안이 있다면, 무엇이든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안 역시) 피해자들이 100% 동의해 왔다면 저희가 (검토하지 않는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靑 "조선일보, 강제징용 민관委 결론 왜곡... 日기업과 동일주장"

 "참여정부 때 민관委 '징용배상, 청구권협정에 반영' 발표" 보도에 靑 반박
 靑 "조선일보, 당시 보도자료 일부만 왜곡 발췌"


 


 청와대는 17일 조선일보의 참여정부 시절 민관공동위원회의 강제징용 배상 논의 관련 보도를 두고, "조선일보가 당시 민관공동위 보도자료의 일부 내용만 왜곡·발췌한 것"이라며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고민정 청와대는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이같이 밝히면서 "(조선일보의 보도는) 일본 기업 측 주장과 동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고 대변인이 이날 오전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일본어판 기사 제목을 두고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데 이어, 고 대변인이 이날 오후 다시 한번 조선일보 보도에 대해 강력히 비판한 셈이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참여정부 당시 민관 공동위원회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 반영됐다'고 발표했다"며 "당시 민관 공동위는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일본에서 받은 무상 자금 3억달러에 강제징용 보상금이 포함됐다고 본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이때 발표로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끝난 것이라는 인식이 굳어졌다"며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문재인 대통령도 위원으로 참여했다"고 썼다. 이에 고 대변인은 "참여정부 당시 보도자료에는 '한일 청구권협정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배 배상을 청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고…'라고 명시돼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즉, 민관공동위는 강제동원 피해 관련 손해배상 청구가 한일 청구권 협정에 포함된다는 결론을 내린 적이 없다"고 조선일보의 보도를 반박했다. 고 대변인은 또 조선일보가 "민관 공동위 결론은 '1965년 협정 체결 당시 제반 상황을 고려할 때 국가가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 권리를 소멸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개인 청구권은 살아있지만, 협정에 따라 행사하기 어렵다는 취지였다"고 보도한 것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당시 민관공동위는 강제징용 피해자 개인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소멸했다고 발표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민관공동위는 '한일 청구권협정은 한일 양국 간 재정적·민사적 채권·채무 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청구권협정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라고 보도자료를 통해 분명히 밝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