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밑에서부터 읽으시고)그 부당한 한일협정을 체결해놓고 수십년간 이런 사태에 대비해 온 일본과 달리~~~

 


 삼성·하이닉스의 中법인도 日 에칭가스 수입 못한다...

 中 수입물량에 '최종 유저'보고토록 조치
 中 내 한국 공장으로 가는 물량 차단 의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으로 가는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등 반도체 소재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가 통제에 들어갔다는 보도가 나왔다. 삼성은 전체 낸드 생산량의 25%, 하이닉스는 D램의 40%를 중국에서 생산해 왔다. 이에 따라 화웨이, 샤오미 등 한국산 메모리를 쓰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 가전 업계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닛케이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에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법인으로 바로 수출되는 물량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가 통제에 나섰다. 일본 정부가 중국으로 향하는 에칭가스에 대해서도 최종 유저가 누구인지에 대해 보고할 것을 벤더들에게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결국 삼성과 하이닉스의 중국법인으로 향하는 물량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법인이 일본에서 에칭가스를 직접 수입해 오던 것도 막힐 가능성이 커졌다. 삼성은 중국 시안에 낸드 공장이, 하이닉스는 우시에 D램 공장이 있다. 중국 공장의 경우 한국에서 소재가 넘어가기도 하지만 일본에서 바로 소재를 수입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로 중국 법인을 통한 수입 물량이 많아질 가능성이 컸는데, 일본 정부가 사실상 이를 차단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중국 공장도 같은 한국 기업의 공장이라는 점에서 일본 정부가 어떤 판단을 할 지 예의주시해 왔다.


 중국 관세 당국에 따르면 작년 한해 동안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입된 고순도 에칭가스는 4,000톤에 이른다. 대부분 한국에서 수입된 일본 제품이다. 이 중 70%는 삼성 낸드 공장이 있는 산시성, 30%는 하이닉스 공장이 있는 저장성 지역으로 보내졌다.


 지난해 일본에서 한국으로 수출된 고순도 에칭가스 물량이 3만 6,800톤이었음을 감안하면 우리 기업의 중국 법인에서 사용되는 에칭가스 상당수는 그간 일본에서 직수입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조치로 한국 기업의 중국 법인 생산 차질은 불가피하다. 특히 이번 조치는 전방위적인 ICT 업계의 위축으로 연쇄적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업계의 한 임원은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삼성, 하이닉스의 타격뿐만 아니라 중국 현지 공장에서 만드는 메모리를 쓰는 화웨이 등의 스마트폰 생산도 어려워질 수 있다”며 “전세계 ICT 산업 전체가 흔들리게 된다”고 우려했다. 

   

 


 日 수출규제 기업 대다수 한국에 공장... "핵심 원료는 일본산"

 스미토모·스텔라 등 대다수 '100년 역사', 수십년간 R&D 집중 투자...
 삼성·SK 국산화 테스트에도 기술 격차로 실제 적용은 '미지수'


 일본 정부가 대(對)한국 수출 규제 대상에 올린 3개 핵심소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합작 혹은 자회사 형태로 한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원료를 일본에서 들여오거나 주요 품목은 일본 내 공장에서 생산하는 등 핵심 기술 유출을 철저히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일본의 소재 업체들 가운데서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곳이 상당수이고, 3개 핵심 품목도 수십년간 기술 노하우를 쌓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 정부와 기업의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업계 등에 따르면 스텔라케미파, 모리타화학 등 고순도 불화수소(HF) 생산업체와 JSR, 도쿄오카공업(TOK), 신에츠(信越)화학 등 포토리지스트(PR) 생산업체, 스미토모(住友)화학 등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생산업체들은 모두 한국에 소재 생산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1916년 오사카(大阪)에서 창립된 스텔라는 1994년 솔브레인㈜ 등과 함께 충남 공주에 생산법인인 '훽트(FECT)'를 설립해 반도체 제조용 고순도 불화합물(HF, NH4F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정제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구축해 '12N(99.99999999%)'의 고순도 정제에 성공했다"면서 전세계 반도체 업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처음 불화수소 상업생산에 성공한 모리타도 ㈜이엔에프, 한국알콜산업, 삼성물산 등과 함께 2010년 충남 아산에 '팸테크놀로지'라는 소재 생산법인을 만들었다. 팸테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반도체 생산용 불화수소 등을 생산하고 있으나 모리타로부터 수입한 원료를 가공해서 국내 업체들에 공급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JSR는 1957년 설립된 '일본합성고무'의 후신으로, 1979년부터 포토리지스트를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04년 100% 자회사 형태로 'JSR마이크로코리아'를 충북 청주에 설립하고 상업 생산을 시작했으며, 지난 2006년에는 삼성전자로부터 최고 공급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회사 관계자는 "주로 디스플레이용 포토리지스트를 생산하는데, 자체적으로 파악해본 결과 이번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된 품목은 없었다"고 말했다. TOK는 1968년부터 반도체용 포토리지스트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2년 인천에 '티오케이첨단재료'를 설립해 반도체와 LCD 등에 사용되는 포토리지스트를 생산하고 있다.

 

 

 

 신에츠화학은 1926년 '신에츠 질소비료'로 출발했으며, 1998년 포토리지스트 사업화를 시작했다. 한국에는 실리콘 제품의 제조·판매를 담당하는 한국신에츠실리콘㈜을 두고 있다. 이밖에 1913년 설립돼 글로벌 화학업체로 성장한 스미토모는 전북 익산에 반도체용 화학 소재를 생산하는 100% 자회사인 동우화인켐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의 주요 소재 업체들이 한국에 소재 생산법인을 설립한 것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글로벌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업체들이 주요 고객이기 때문으로, 매출 기여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 소재·부품 업체들은 대체로 100년 역사를 갖고 오랜 기간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연구개발(R&D)에 매진한 결과 글로벌 업계를 좌지우지하고 있다"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소재 국산화 테스트에 나섰다고 해도 당장 일본 업체의 수준을 따라가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소재 분야는 물론 부품, 장비 등에서도 민관이 함께 '컨틴전시 플랜'과 함께 중장기적인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독]일본, 반도체 소재 '제3국 우회'도 차단...

 ㆍ해외 생산공장 유통 단계, 최종 종착지 일일이 체크
 ㆍ한국행 막으려 통제 조치
 ㆍ치밀해지는 일본의 ‘압박 카드’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소재의 유통 단계에서 최종 종착지인 ‘엔드 유저(end user)’를 일일이 확인해 한국 수출을 통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와 포토레지스트(감광액),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국내 직수입이 막힌 소재의 ‘제3국을 통한 우회수입’도 어렵다고 결론내렸다. 반도체 제조공정상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력하게 검토돼온 대안마저 막힌 상황이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16일 경향신문과 통화하면서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 품목의 ‘엔드 유저’를 체크 중인 것으로 안다”며 “최종 사용처를 세심하게 확인하겠다는 뜻으로, 규제 품목을 해외공장을 경유해 국내로 들여오기조차 어려워진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도 “일본에서 ‘엔드 유저가 누구인지 명시하라고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우회수입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과 중국 시안에,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반도체 공장을 갖고 있다. 두 기업은 일본이 반도체 핵심 소재의 한국 직수출을 차단하자 이들 해외공장을 통해 확보한 물량을 한국으로 들여와 생산 차질을 막는 방법을 검토해왔다.


 또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스텔라 같은 일본 소재 기업의 대만, 싱가포르 등 해외공장에서 에칭가스를 구매하는 방법도 고려했지만 이 역시 일본 정부의 추적 탓에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가 일본 소재 기업의 해외 생산기지에서 일부 물량을 조달한 사실이 알려지자 일본 정부가 이마저 차단하는 데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장기적으로 일본 소재 기업의 생산기지를 국내에 유치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제재에 완강한 입장이어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제조용 소재의 비축량을 함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에칭가스는 공급선 다변화를 추진 중인데 보유 물량이 적다는 게 드러나면 가격 협상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