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정보투자 이야기

(출근후)서 정진 회장님, 뭔 바이오(Bio)가 영화냐고요~~~ 다각화보다는 우량 바이오 M&A라고 했습니다...!!!

 


 엔터 관심 서정진에 불만 가득 셀트리온 주주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150억원을 투자한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이 흥행에 실패해 적자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면서 주주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8일 영화진흥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자전차왕 엄복동의 지난 5일 기준 누적 관객은 16만 5천명에 그쳐 박스오피스 순위권에서 벗어났다. 손익분기점 400만명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150억원의 제작비는 외부투자자 없이 셀트리온홀딩스와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전액을 투자했다. 영화배우 이범수 씨가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제작과 배급을 맡았다. 서 회장은 지난 26일 무대인사에 참석해 "돈을 벌자는 게 아니고 의미 있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다"며

 "감독과 배우의 열정과 자전거 경주로 앞 세대 사람들이 위로를 받았다는 점"이 투자 이유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돈을 벌고자 했다면 당연히 외부투자를 유치했을 것이다. 물론 잘되면 좋겠지만 영화가 잘되지 않아도 손해는 우리만 본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한 주주는 "그렇게 열정이 필요하면 사비로 제작하면 되는데 왜 상장기업 돈을 써서 투자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서 회장이 쓸데 없이 영화 산업에 투자해 주주 손실을 초래한다는 취지의 불만성 게시글이 증권 커뮤니티를 뒤덮었다.

 그러나 이러한 불만은 사실과 거리가 있다. 투자 주체는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홀딩스와 셀트리온스킨큐어다. 서 회장의 말처럼 손해는 `우리만` 보는 구조다. 여기서 우리는 서 회장과 임석정 SJL 파트너스 대표를 말한다.

 셀트리온홀딩스는 비상장사다. 서 회장이 지분 95.51%, 임석정 대표는 3%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합작 투자를 한 것으로 알려진 셀트리온스킨큐어 역시 마찬가지로 비상장사다.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분 1.4%를 보유하고 있을 뿐이다. 주주 손실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셀트리온 주주 입장에서는 충분히 답답할 수 있는 상황이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주가가 2018년 상반기 고점을 찍고 급락해 오랜 기간 횡보합 하는 어려운 상황에 주가 관리는 못 하고 서 회장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만 기웃거린다는 것이다.

 답답함은 감독과 배우도 유발하고 있다. 김유성 감독은 시사회에서 "(엄복동 절도 등 범죄에 대해) 제기된 이슈는 시나리오 쓰면서는 몰랐다. 프리프로덕션 진행하며 취재 중에 알게 됐다"고 말했다. 주연배우인 배우 비도 SNS에 "영화가 별로 일 수 있다.", "영화가 잘 안돼도 좋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관계자들이 진정성이 없어 보이는 것이다.

 이 같은 논란에도 서 회장은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에 대한 개인 투자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충분히 최선을 다한 배우들이 욕먹는 상황이 미안하고 안타깝다"며 "차기작 준비에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스크랩] LMOI.... 두 계획(Two Plan:MOI/MMOI) 그리고 `빅 거래`(Big Trade)... |

 http://blog.daum.net/samsongeko/6511

 

 내가 서 정진회장이라면 그 삼바와 셀트리온의 합병이나 안되면 적대적 M&A를 시도한다...!!!

 http://blog.daum.net/samsongeko/7519


 살아 있는 주요 바이오업체들아~~~ 다각화보다는 우량 동종업체의 기업 인수&합병을 시도한다...!!!


 


 이 범수 대표 맡은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는 어떤 회사?


 배우 이범수가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의 대표로서 공식 행보를 시작한다.  배우 이범수는 오는 27일 개봉을 앞둔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에 출연 및 제작에 참여했다. 자전차왕 엄복동’은 일제강점기 자전거 영웅이었던 실존인물 엄복동 선수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가 제작은 물론 투자와 배급까지 맡았으며 13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작품이다.           


 이범수는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의 영화 제작 및 투자‧연예 매니지먼트 부문 대표를 맡고 있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는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인 셀트리온 홀딩스의 자회사로, 셀트리온이 100% 지분을 갖고 있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지난 2012년 설립한 드림E&M의 이름을 바꾼 것이다. 주로 드라마 제작에 참여했던 드림E&M은 지난 2017년 3월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로 이름을 바꾸고 이범수를 대표로 영입하면서 영화 제작과 배급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이 범수는 서 회장과 같은 충북 청주 출신으로, 10여년 전 사회봉사활동 자리에서 만나 친분을 다져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영화 배급시장에 야심차게 출사표를 던진 신생 투자·배급사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메리크리스마스가 선보인 코미디물 ‘내안의 그놈’은 200만 관객에 육박하는 흥행을 거뒀다. 메리크리스마스 제공


 요동치는 배급시장.. 메리크리스마스 웃고 셀트리온 울고...

 

국내 영화 배급시장이 격동기에 들어섰다. 지난해 우후죽순 등장한 신생 투자·배급사들이 연이어 신작을 내놓으면서, CJ엔터테인먼트와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NEW(뉴) 4대 메이저 회사가 장악했던 시장에 크고 작은 파장이 일고 있다. 스타트를 끊은 건 메리크리스마스와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인데, 이들의 희비는 엇갈렸다.


 메리크리스마스는 10년간 쇼박스를 이끌었던 유정훈 전 대표가 중국 미디어그룹 화이브라더스의 투자를 받아 설립한 회사다. 첫 투자·배급 작품인 ‘내안의 그놈’을 지난 1월 선보였는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다. 총제작비 45억원이 투입된 영화는 손익분기점(120만명)을 훌쩍 뛰어넘으며 191만명 이상의 누적 관객을 동원했다.


 당초 ‘내안의 그놈’은 기존 주요 배급사들에게 모두 거절당한 작품이었다. 두 인물의 몸이 바뀌는 중심 설정 자체가 식상한 데다 진영 이수민 등 티켓파워가 검증되지 않은 배우들을 전면에 내세워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메리크리스마스는 과감한 선택을 했고, 이 영화로 1월 배급사별 관객 점유율 순위 4위(10.4%)에 올랐다.


 개봉 예정작 라인업도 쟁쟁하다. 먼저 200억원대 제작비가 투입된 우주 블록버스터 ‘승리호’가 기대를 모은다. ‘늑대소년’(2012)의 조성희 감독과 배우 송중기가 7년 만에 의기투합한 작품으로, 김태리가 출연을 논의 중이다. 박해수 서예지가 주연한 ‘양자물리학’과 이순재 정영숙 주연의 노년 로맨스 ‘로망’도 개봉을 기다린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가 내놓은 실화 바탕의 시대극 ‘자전차왕 엄복동’은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 제공


 셀트리온엔터테인먼트는 시작이 좋지 않다. 바이오기업 셀트리온홀딩스가 만든 이 회사는 배우 이범수가 영화 부문 대표를 맡고 있다. 배우 정지훈을 주연으로 기용해 제작·투자·배급까지 진행한 ‘자전차왕 엄복동’을 지난달 27일 개봉했는데 5일 동안 관객 15만명을 넘기는 데 그쳤다.


 총제작비 130억원을 쏟아부은 영화는 손익분기점(400만명) 근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출격을 기다리는 신생 배급사들이 적지 않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는 정현주 전 쇼박스 투자제작본부장이 화장품 브랜드 AHC를 1조원에 매각한 이상록 전 카버코리아 회장의 투자를 받아 설립한 회사로, 올해 ‘악인전’ ‘클로즈 투 유’ ‘해치지 않아’ ‘변신’ ‘더러운 돈에 손대지 마라’ 등 기대작 다섯 편을 준비 중이다.


 지난해 영화 투자·배급업에 진출해 ‘범죄도시’와 ‘기억의 밤’으로 연이은 성공을 거둔 키위미디어그룹(대표 정철웅)은 올해 ‘유체이탈자’ ‘바디스내치’ ‘헝그리’ 등을 선보인다.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CJ ENM 영화사업본부장을 지낸 권미경 대표와 손을 잡고 출범시킨 스튜디오N은 ‘비질란테’ ‘여신강림’ ‘금수저’ 등 네이버 인기 웹툰들을 영화화한다.


 신생 투자·배급사들의 잇단 시장 진출을 바라보는 영화계 시선은 엇갈린다. 중소형 제작사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새로운 자본이 유입됨에 따라 영화 제작과 유통의 활로가 뚫리고 자연히 콘텐츠의 다각화 또한 이뤄질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반면 영화산업 매출이 수년째 연 2조원대에 머물고 있는 포화 상황에 과도한 ‘제 살 깎아먹기식’ 경쟁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다 같이 성공하기 힘든 구조가 됐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시장 상황은 결국 관객의 선택에 따라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