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정보투자 이야기

어린 아내는 "범죄도시3" 개봉을 기다리고 있지만 현재 국내도 중국이상으로 코로나 해제이후에도 리오프닝 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주요 콘텐츠/방송/엔터 투자가들은 필독

 

중국의 내수 부진이 문제다... 코로나 해제이후에도 리오프닝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고 이건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 주요 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431

부채 한도 이슈가 실제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준 사례는 2011년 8월이다. 그 당시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했고 전세계 증시는 폭락했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417

원탑 양키 코쟁이들은 기본적인 쌍둥이 적자 문제에 인플레, 투탑 왕서방은 미국때문에 기저적인 디플레에 둘이 합치면 글로벌 경제 동향은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인거네?????

https://samsongeko1.tistory.com/12416

 

원탑 양키 코쟁이들은 기본적인 쌍둥이 적자 문제에 인플레, 투탑 왕서방은 미국때문에 기저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0.25%p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뒤 기자회견을 갖고 “인플레이션 억제까지 갈 길이 멀고 여전히 인

samsongeko1.tistory.com

 

 

아이유도 힘 못썼다... “완전 망했다” 넷플릭스발 고사 위기...

 

 

“넷플릭스가 더 재미있는데, 영화관은 뭐하러 갑니까” (직장인 K씨)

“영화관 가면 인당 3만원은 들어요. 그 돈이면 넷플릭스 마음껏 보는게 낫죠” (주부 P씨)

넷플릭스 천하에 영화관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코로나 이후 회복 될 것 처럼 보였지만, 많은 사람들이 영화관 대신 이젠 넷플릭스로 몰리고 있다. 계속되는 적자로 영화관마다 “문을 닫아야 할 판” “망했다” “코로나 때보다 더 심각하다” 아우성이다.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는 CJ CGV는 올 1분기에만 141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 폭은 줄었지만, 코로나 이후 회복 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달리 여전히 2년 넘게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CJ CGV는 희망퇴직, 무급 휴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몸집도 크게 줄었다.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한국 영화 관객수도 173만명으로 3개월 연속 200만명을 넘지 못했다.

코로나 이전 한국 영화 관객수는 월 평균 400만명에 육박했다. 반토막이 난 셈이다. 아이유를 앞세워 기대를 모은 영화 ‘드림’도 구원 투수가 되지 못했다.

영화제작 인력이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영상 제작에 몰리면서 OTT 콘텐츠의 경쟁력은 강화되고 있지만, 영화관 개봉 영화들의 경쟁력은 오히려 약화되고 있다. 실제 개봉 이후 줄줄이 흥행에 실패하고 있다.

올해 개봉한 한국 영화 가운데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영화가 한편도 없다. 넷플릭스 콘텐츠에 비해 요즘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영화들의 경쟁력이 높지 않다는 평가다. 코로나 이전 8000원에서 1만원 수준이던 티켓 가격도 1만 5000원까지 올랐다.

영화관 한번 가면 영화표 및 간식 비용을 합쳐 1인당 평균 3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이럴바에는 집에서 넷플릭스를 마음껏 보는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직장인 K씨는 “비용은 더 많이 드는데 영화관 상영작들이 넷플릭스 보다 재미가 없다”며 “영화관에서만 볼수 있는 차별화된 영화도 별로 없어 넷플릭스를 더 선호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내 OTT 앱 설치자 수는 3000만명을 넘어섰다. 영화관을 대신할 주요 미디어로 부상한 셈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넷플릭스·웨이브·티빙·쿠팡플레이·디즈니+ 등 주요 OTT 앱 설치자 수가 3008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2979만명) 대비 약 7.5% 늘어난 수치다.

4월 기준 OTT별 사용자 수와 사용률을 살펴보면 넷플릭스가 1156만명, 63.6%로 모두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사용자 수의 경우 2위인 쿠팡플레이의 2.5배에 달했고, 사용률도 2위 티빙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넷플릭스는 매년 사용자 수가 수백만명씩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소연의 엔터비즈]"요즘 누가 TV 봐요"... 시청률 1위 대박난 방송 관계자의 한탄...

 

 

"요즘 다들 힘들어요. 1위한 그 프로그램이요? 시청률은 높은데, 수익은 별로였어요. 광고가 너무 안 팔렸어요."

시청률 돌풍으로 화제가 됐던 한 프로그램 관계자가 털어놓은 속내였다. 시청률 1위로 화제가 된 프로그램들도 제작, 진행비를 까보면 '적자'인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지상파 중간광고 시행과 코로나19로 지연된 광고 집행 등으로 회복하는가 싶었던 방송 광고가 최근 다시 하락세를 보인다. 지상파뿐 아니라 케이블TV, 종합편성채널 등 방송 광고 시장 전체가 "위기"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넷플릭스 등 OTT와 유튜브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방송 광고 시장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 4월 28일 진행된 제59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 예능 부분 작품상인 '피식대학-피식쇼'를 비롯해

남녀 예능상을 받은 김종국, 이은지는 각각 '짐종국'과 '길은지' 등 유튜브 기반 웹 콘텐츠에서 활약한 부분이 인정됐다. 대중적인 인기와 화제성의 바로미터인 예능의 중심축이 TV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갔다는 해석이 나왔다.

한국광고총연합회가 진행한 '2022년 광고주 현황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매체별 예상 집행 비율은 온라인‧모바일이 44.2%로 인쇄(15.6%), 지상파 TV‧라디오(12.4%), 종편‧케이블TV(11.0%)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선호도 역시 온라인‧모바일이 60.3%로 지상파TV(15.1%)와 케이블TV(12.3%) 등에 비해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향후 광고비 집행 증가 예상 매체로 온라인, 모바일을 꼽은 답변이 79.5%로 가장 높았고, 감소 예상 매체로는 지상파TV가 35.6%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방송 광고 시장이 더 위축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한 지상파 방송사 소속 연출자는 "제작 과정에서 만나는 투자자 중에 대놓고 '방송에서 틀지 말고 OTT로 공개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었다"면서 "방송사도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의 하청업체가 되는 게 아닌가 싶다"고 토로했다.

"코로나 때보다 어려운 광고 경기 침체"

SBS가 지난 12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매출은 217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4% 감소했다.

특히 광고 수익이 834억원으로 월드컵 특수를 누린 지난해 동기 대비 36.4% 떨어졌을 뿐 아니라 2020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시기보다 광고 매출이 떨어진 것.

SBS는 올해 1분기 최고 시청률 21%인 '모범택시2'를 비롯해 '법쩐' 등 인기 드라마를 연이어 내놓았고, '미운우리새끼', '골 때리는 그녀들' 등 고정 예능 시청률 역시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광고 매출이 떨어진 것은 전반적인 방송 광고 시장 위축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 15일 SBS 목표주가를 이전보다 6% 하향 조정한 4만7000원으로 제시하면서

"상반기 TV 광고 업황이 보수적으로 추정했던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상황임을 반영했다"며 "(SBS는) 중장기 관점에서는 상승 잠재력이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상승 모멘텀이 부재하다"고 평가했다.

CJ ENM 상황도 다르지 않다. 지난 1분기 CJ ENM 매출액은 9490억원으로 0.9% 감소했지만, 영업적자는 503억원을 기록했다.

400억원 상당의 티빙 적자, 해외 자회사인 피프스 시즌(Fifth Season)의 400억원 적자도 있었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는 TV 광고 부진이 꼽혔다. tvN과 Mnet, OCN 등 케이블방송 채널을 운영하는 CJ ENM은

TV 광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정도 하락했다고 봤다.

TV 위협하는 OTT

방송이 외면받는 동안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OTT 광고 시장과 영향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공개한 '2022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를 통해 OTT 사업자 매출, 이용률, 유료 이용자 비율 등이 전반적으로 증가해 유료 방송시장을 포함한 방송시장 전반에 대한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부터 광고 기반 저가 요금제를 도입하며 광고 시장에도 진출했다. 방통위는 "OTT의 광고시장 진출이 장기적으로 국내 OTT 사업자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구독 데이터 분석업체 안테나에 따르면 미국 내 넷플릭스 신규 가입자 중 광고형 베이식 멤버십(한국 기준 월 5500원) 비중이 지난해 11월 9%에서 올해 1월 19%로 늘었다.

광고 요금제 가입자 수가 출시 2달 만에 미국 내에서만 100만명을 돌파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최고가 멤버십인 프리미엄(19.97달러, 한국 1만7000원) 비중은 20%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저렴한 요금형인 베이식 멤버십(한국 9500원) 비중이 지난해 11월 41%에서 올해 1월 16%로 크게 줄었다.

고화질이 아닌데다 광고까지 나오지만 저렴하게 넷플릭스를 이용하려는 고객들이 광고형 멤버십을 선택했다는 분석이다. OTT에서 자체 광고 시장을 개척하면서 이들을 찾는 광고주들도 늘어나리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국 TV 시청률 조사업체 닐슨(Nielsen)은 지난해 7월, 미국인들의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플랫폼 시청 시간이 전체 시청 점유율에서 34.8%를 차지해 케이블TV 시청 점유율(34.4%)을 근소한 차이로 앞질렀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케이블TV의 코드 커팅이 지속되고, 스트리밍 시청은 지속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18일에는 미국 케이블 TV를 대표하는 채널로 꼽히는 스포츠 전문네트워크 ESPN이 케이블 채널로 송출됐던 스포츠 경기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미국 현지 언론들은 케이블TV를 해지하고, 넷플릭스와 애플TV+,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는 시청자들이 증가하는 현재 상황이 ESPN의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스트리밍 서비스 진출을 부채질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