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난 오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1.5% 인상을 예상했었다아... 미친 소리같은가...?? 현재 한미 금리차로 인한 외국인 대규모 탈코리아를 국책은행이 용인하는 꼴 아닌가 말이다..

이제 나스닥 만포인트 붕괴이상으로 KOSPI 2000p 붕괴도 예상하고 대응하기 시작합니다... 코스닥요?? 관심없고요..... 이곳은 종목별 관점, 개별주 논리, 선별적 대응만이 살 길이라고 누누히 강조하고 있네요.....

 

 

똥값 된 금(金)값... 이젠 금 사도 되지 않을까...??

금값 2년 반래 최저 찍고 반등... 고용지표에 재차 하락...

한때 인플레 헤지로 각광 받았지만 强달러에 가치 추락...

"중앙은행 인플레와의 싸움서 패할 것... 달러보다 금 투자"

"연준 인플레 억제 지속... 高금리 시기엔 금값 늘 약했다"

 

 

지난주말 미국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보다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오자 시장에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인 정책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점쳤고, 이에 최근 반등을 모색하던 금(金)값이 다시 떨어졌다.

올 들어 연준의 공격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면서, 금값은 연중 내내 하락압력을 받고 있다. 현재 현물 금값은 온스당 1676달러로, 최근 2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자 경제가 불안할 때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졌던 만큼,

이제는 저가 매수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 섞인 전망도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다만 아직도 인플레이션이 잦아들 조짐이 보이지 않는 만큼 금 매수는 시기상조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우선 금 매수를 추천하는 대표적인 인물은 유로퍼시픽 캐피탈의 피터 시프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시장전략가다. 시프 이코노미스트는 “금을 사려면 일단 인플레이션과 싸우고 있는 연준의 판단을 봐야 한다”고 전제한다.

다만 그는 “개인적으로는 각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서 타월을 던지는 상황이 올 것으로 보고 있으며, 결국은 인플레이션이 승리하게 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은 앞으로 수년 간 주요 경제권 중 일부를 파괴할 것이며, 이미 그런 일은 막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에 “흔히 미국 달러화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지지만, 오히려 달러화가 다음번 위기의 진원지가 될 것”이라며 투자자들은 (가치가 하락할 수 있는) 달러화를 대신할 피난처로 금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프 이코노미스트는

“역사적으로 금은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독특한 역할을 해왔다”며 “결국 많은 사람들이 법정화폐에서 이탈해 진짜 화폐인 금으로 이동할 것이며, 그런 차원에서 아마도 조만간 역사적인 금 강세장의 초기 단계가 나타나지 않을까 한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바트 멜렉 TD증권 원자재 투자전략부문 대표는 이에 반대한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쉽사리 길들여지지 않을 것이며 연준도 그 싸움에서 쉽사리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이 2023년 내내 정책금리를 더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실질금리가 더 높아지면 고수익 투자자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금에 투자해 보유하는 비용은 더 높아지게 된다”며 결국 투자자들은 금에 대한 투자 비중을 줄이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데이빗 노하우저 매니저도 비슷한 생각이다.

그는 “개인적으로 금 강세론자이긴 하지만, 최근 달러화가 강해지면서 금에는 역풍이 불고 있는데 역사적으로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일 때 금은 호황이고 금리가 뛸 때 수익률이 낮아졌다”고 말했다.

노하우저 매니저는 “만약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는 가운데 더 높아진 금리가 경제 성장을 약화시키는 상황이 된다면 글로벌 경제는 오히려 스태그 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금은 화폐나 증권처럼 마구 찍어낼 수도 없고 금광은 줄어들고 새로운 금 발굴도 훨씬 더 줄어들고 있는 만큼 금은 훌륭한 투자자산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 0.5%p 금리인상했지만 미국보다 여전히 낮아...

더욱 문제는 금리차 더 확대될 것이라는 점...

 

 

한국은행이 12일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해 기준금리를 3%로 올렸지만

여전히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낮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3.0~3.25% 범위다. 미국 연준은 지난 9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 기준금리를 3.0~3.25% 범위로 끌어올렸다.

문제는 미국 연준이 11월 FOMC 회의에서도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 경우, 미국 연준은 4번 연속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게 된다.

이날 현재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연방기금금리(미국의 기준금리) 선물은 연준이 11월 회의에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할 확률을 80.8%로 반영하고 있다.

연준은 오는 11월 1일~2일까지 FOMC를 연다. 연준이 11월 FOMC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한다면 미국 기준금리의 상단은 4%가 된다.

한국과 금리차가 1%포인트로 벌어지는 것이다. 한국의 다음 금통위는 11월 24일 열릴 예정이다. 약 한달 정도 한미의 금리차가 1%포인트 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원화 약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