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아니 뭔 기준금리를 공모주 따상으로 올리듯이 올리네요^^ 다음달에 다시한번 연상을 예고했고요... 이제는 증권투자하는것보다는 재테크의 중심 예/적금의 시대로 넘어가나요^^

 

중국/러시아등 글로벌 공급망 중심에 있는 나라들을 건든 두 적그리스도 배출국 양키 코쟁이들이야 자업자득이고, 아시아 주요국 포함 전세계 개도국/후진국 국민들은 뭔 죄냐고...

https://blog.daum.net/samsongeko/11875

(2022.6.13)(다음 블로그, 한달만에 복귀)이번주 주간증시전망이요...?? 안하는게 나을듯하고요... 현재 시중 금시세가 돈당 30만원을 돌파할 것 같다는 아내의 최근발 전언이나 전하는 것이 훨 유익할듯하네요...

https://blog.daum.net/samsongeko/11870

 

(다음 블로그, 한달만에 복귀)이번주 주간증시전망이요...?? 안하는게 나을듯하고요... 현재 시중

그 GI 재경팀내 대체투자과장은 알아서 움직이고 있고 전 아내(요즘 두 늦둥이 아들 녀석들 애엄마를 향년 54세로 돌아가신 엄마를 대체할 금전문가로 육성중^^)를 돌아가신 어머니로 생각하고

blog.daum.net

 

 

아래는 개장후 주요 4개 SNS에 올린 코멘트들입니다...

 

 

"이곳도 하계운용(2022.6~2022.8) 시작은 했는데^^ 올해 필요한 사업(운용)자금 1년치를 춘계운용으로 다 벌어들여서리... 장이 상승중인데 기술적 반등이상의 의미를 두고 싶지는 않고 회사꺼외에 고객파트도 움직이네요^^ 기백원이 들어가 있는 GI 자산운용본부내 안 지명 자산운용과장이하 운용역들이 주도하고 있는 고객계정 2차전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을 넣고 6:4의 비율로 전격 매집후 보유중, 회사(자가)계정 식용유 샘표, 신송홀딩스를 넣고 7:3의 비율로 어제 매집후 변동없이 홀딩중~~~^^ GI 자산운용본부내 자산운용과장 안 지명과장에게는 이번주부터 다시 움직이라고 지시중~~~^^ 비제도권 시장조언자(재야고수)이자 수석 재산관리 집사 게코(Gekko)"

 

 

"이곳도 하계운용 이번주부터 시작했습니다~~~ 경자년 동계이후 직접 개입형 과외서비스 참여신청 예비지인 2명포함 주요 지인들 50명들과 아내를 중심으로 장모님, 처남/댁, 여동생/매제등 친인척 13명등 총 63명이 투자그룹을 형성중인 제가 직접 조율하고 있는 또 다른 부외계좌(주요 지인들및 친인척들) 로봇관련 가온칩스, 유일로보틱스중 유일을 빼고 그 자리에 에스피지를 넣고 7:3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 투자권고중~~~^^ 아내분은 2시간반전에 바로 처리되었고 주요 고객들과 친인척들은 2시간반전에 단톡방에 카톡 넣고 바로 처리 주문..... 하계 두번째 그룹(테마)주 거래네요..... 이곳은 아내와 하계에 들어오신 예비지인 2명등 3명만 빼고 사시든가 마시든가 전 관여하지 않습니다... 장마감후 매매법상의 문제만 과외지도중~~~ 예비기간 3개월만 무조건 따라와야하고 안하시면 직접 개입형 과외 서비스 해지 사항이고요~~~^^ 잔여 9개월은 독자판단이 가능하고 전 매매시점만 보내는 구조~~~^^ 참조하시고요^^"

 

 

"일단 800p대는 되찾았네요~~~^^ 장기대박계획(LMOI) 9600만원으로 하계운용 시작한 수석제자 회색늑대 진원생명과학, 녹십자엠에스를 다 빼고 알테오젠, 일동제약을 넣고 6:4의 비율로 전격 교체매매후 홀딩중~~~^^ 9억6000만원으로 하계운용 시작한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원준, 코스모신소재를 넣고 7:3의 비율로 어제이후 변동없이 보유중~~~^^ 차석제자놈 여섯번째 분기 대결에서는 선전했으면 좋겠네요~~~^^ 앞으로도 7번의 분기운용을 앞두고 있는데, 현재 수석제자놈이 네번을 이기고 있어서요~~~^^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개장후 오후장 운용상황입니다..."

 

 

(종합)美, 금리 0.75%p 인상 '초강수'... 내달 또 '자이언트스텝' 가능성...

파월 "7월에도 0.5∼0.75%p 인상"... '양적 긴축' 지속 입장 재확인...

연준 "연말 금리 3.4%... 올 성장률 1.7%로 하향, 물가 5.2%로 상향"

WP "가장 공격적 조치"... 일각, 초고속 금리인상에 경기침체 우려도...

 

 

가파르게 치솟는 물가로 지난 1981년 말 이후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허덕이는 미국이 물가를 잡기 위해 28년 만에 최대폭의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 드는 초강수를 뒀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은 이달에 이어 7월에도 같은 폭의 금리를 인상 가능성까지도 예고하면서 '물가 잡기' 총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다만 일각에선

초고속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어 향후 연준의 선택이 주목된다. 연준은 15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종전 0.75∼1.00% 수준에서 1.50∼1.75% 수준으로 크게 올랐다. 연준이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라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은 지난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이다.

파월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았다"며 "계속되는 금리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오늘 관점으로 볼 때 다음 회의에서 50bp(0.5%p, 1bp=0.01%포인트) 또는 75bp(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해 연준이 연속해서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도 내비쳤다.

앞서 연준은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고공행진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 3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제로 금리 시대에 종언을 고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22년 만의 최대폭인 0.5%포인트(빅 스텝)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빅스텝 직후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해선 선을 그으면서 6∼7월에도 0.5%포인트씩의 금리 인상을 고려할 방침임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기록적인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으며 '인플레이션 정점론'이 흔들리자 금리를 0.75%포인트 파격적으로 올리고 다음 달에도 같은 수준의 인상까지 예고하면서 물가를 안정시키겠다는 연준의 단호한 의지를 보인 것이다.

지난 10일 발표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6% 오르며, 1981년 12월 이후 40년 5개월 만에 가장 가팔랐다. 5월 CPI가 전망치를 웃돌자 당초 연준의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예상했던 시장도

연준이 0.7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고 수정된 전망치를 잇달아 내놨다.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를 보면 올해 말 금리 수준을 3.4%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3월보다 1.5%포인트 오른 것이다. 점도표상 내년 말 금리 전망치는 3.8%로 종전보다 1.0%포인트 상향됐다.

또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월에 내놓은 2.8%보다 1.1%포인트 낮은 1.7%로 하향 조정했고,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3%에서 5.2%로 올렸다.

아울러 연준은 9조 달러에 육박하는 대차대조표 축소를 기존 계획대로 계속 진행하는 등 양적 긴축을 지속하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며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19)대유행, 높은 에너지 가격, 광범위한 물가 압박과 관련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반영해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엄청난 인명과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며, 이는 인플레이션에 추가 상승 압박을 가하고 글로벌 경제 활동에 부담을 준다"며 "중국의 코로나 관련 봉쇄도 공급망 차질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금리 목표 범위의 지속적인 증가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연준은 "목표 달성을 방해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하면 통화정책의 입장을 적절히 조정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연준 평가는 공중 보건, 노동 시장 상황, 인플레이션 압력 및 기대치, 재정 및 국제 현황 등 광범위한 정보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금리 인상을 "경제를 압박하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려는 가장 공격적인 조치"라며 "소비 지출을 억제해 과열 경기를 가라앉히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낮춰 가격 하락을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했다.

WP는 "하지만 투자자와 일부 기업은 인플레를 통제하려는 조치가 경제를 너무 냉각시켜 경기침체와 정리해고의 물결을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AP통신은 물가 급등이 중간선거를 앞둔 유권자에게 가장 큰 우려를 불러일으켜 선거에서 민주당의 패배 가능성을 높이는 사안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상은 물가를 낮추면서도 성장을 유지하려는데 있어선 '무딘 도구'라고 덧붙였다.

이날 0.75%포인트 금리 인상안은 0.5%포인트 인상을 주장한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위원이 찬성했다.

 

 

같아진 한·미 기준금리... 역전은 시간 문제...

美 FOMC, '자이언트스텝' 0.75%p 인상...

한·미 기준금리 1.75%로 동일선상 놓여...

다음달에 금통위... FOMC도 열릴 예정...

0.25%p 올리던 한은, 빅스텝 등 불가피...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하면서 한·미 기준금리가 단숨에 동일선상에 놓였다. 이 때문에 다음달 금리 역전은 기정사실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4~15일(현지시간) 열린 정례회의 이후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 0.75~1.00%였던 기준금리는 1.50~1.75%로 뛰었다. 상단 기준 한국 기준금리와 같아졌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을 밟은 건 1994년 이후 28년 만이다. 다음달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이상을 단행하면 한국은행이 다음달 빅스텝을 하지 않는 이상 한·미 금리가 역전된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분명히 0.75%포인트 인상폭은 이례적으로 크며 이런 규모의 움직임은 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다음 회의에서 0.5%포인트 혹은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예고했다.

당초 자이언트스텝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던 파월 의장이 달라진 건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진 물가 때문이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981년 12월 이후 4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8.6% 급등해 전망치를 웃돌자 시장에서는 빅스텝보다 더 초강수를 둘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4일(현지시간) 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번 FOMC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기존 34.6%에서 99.4%까지 뛴 바 있다.

연준은 올해 경제성장률도 1%대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종전 2.8%에서 1.7%로 대폭 수정한 것으로 물가를 잡기 위해 경기 침체를 어느 정도 감수할 수 밖에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파월은 "우리는 지금 경기 침체를 유도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것에 대해 분명히 하겠다"고 언급했다. 또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는 데 전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FOMC 결과를 받아든 한은이 다음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이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은은 올해 7·8·10·11월 4번의 금통위만 남겨두고 있다.

이달 금통위가 없고 다음달 13일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달 말 예정된 미국 FOMC보다 이른 시점이다. 이때 금리 역전에 따른 외국인 자본 유출 등 우려로 한국은행이 0.50%포인트 이상 올려 금리를 방어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그동안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 0.25%포인트 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밟아왔다. 한 번에 기준금리를 크게 올릴 경우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커서다. 다음달 금리 역전이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이를 방치하면 외국인 자본 유출 등 우려가 있다.

연준이 지난 3월 0.25%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0.50%포인트, 이번에는 0.75%포인트 올린 상황에서 0.25%포인트 올리는 수준으로는 부족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취임 이후 줄곧 성장보다 물가를 우선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