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정보투자 이야기

근데 시장은 북한 김 정은이가 이미 죽었거나 위중하다는 것에 모두 베팅중입니다... 오늘은 바이오(Bio)도 미래차도 관심없고요~~~

 

 

김 여정이 대남 압박 전면에..다시 불거진 '김 정은 건강이상설'

WP "김 여정, 김 정은 대리인으로 공식 승격"
"김 정은 유사시 김 여정이 '섭정'"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최근 전면에 나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군사행동 예고를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김여정이 사실상 북한의 '2인자'라고는 해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존재감이 너무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여정이 대남 공세의 전면에 나서면서 김정은의 건강이상설도 두 달 만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6일(현지 시각) 일본 도쿄발 기사에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과 관련해 "김 부부장이 이달 들어 공식적으로 오빠(김정은 위원장)의 대리인(deputy)'으로 공식 승격"됐다"고 했다. WP는 또 "김여정 부부장의 급부상은 북한 지도자(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추측에 불을 지필 만한 놀라운 변화"라고 전했다.

 

한편으로는 김정은이 권력을 가족과 함께 공유하려 하는 것이라는 추측도 낳는다고 했다.

미국 정부에서 북한 분석가로 일했던 레이첼 민영 리는 WP에 "북한 관영 매체가 김여정 부부장의 발언을 기사와 집회, 인민 반응의 기준점으로 내세우면서 '이례적으로 명확한 입장(unusually high profile)'을 취했다"며 "이는 다른 비(非) 백두혈통 지도자에 비해 김여정 부부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의도"라고 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김정은이 지난 4월11일 이후 관영 매체에 3차례만 등장한 것을 언급한 뒤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에 뭔가 문제가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럴수록 대행이 중요하다. 누가 대행이 될 수 있겠나. 권력을 독점하지 않을 누군가 뿐"이라고 했다.

란코프 교수는

 

"미래 권력 승계자가 어리다면, 믿을만하고 배신하지 않을 형제자매를 선택하는 것이 김정은 위원장 일가에서는 이미 확립된 전통"이라고 했다. 김정은은 리설주와 2009년 결혼해 2남 1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남은 올해 10살로 추정된다. 후계자가 되기엔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잠시 김정은 유사시 김여정이 '섭정'처럼 대행을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의 북아시아 전문가인 브루스 클링너도 김여정 부상이 김정은 건강 이상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그는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8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권력 승계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정은 위원장이 건강이상 때문에 공식 석상에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란 관측을 뒷받침할 증거는 없다"고 했다.

 

 

 

"김 여정 '깜짝' 부상, 김 정은 건강이상설에 새로운 불 지펴" WP

"북한 지도자의 여동생이 아니라 독립된 정책 입안자"
"김 위원장, 2008년 아버지 쓰려진 뒤 권력승계 작업 돌입"

 

 

북한이 이른바 '백두혈통'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예고한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를 실행에 옮긴 가운데 김 제1부부장의 급부상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에 불을 지피는 '깜짝 놀랄만한 변화(stunning shift)'라는 외신의 지적이 나왔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16일(현지시간) 김 제1부부장이 이달초 사실상 김 위원장의 '대행(deputy)'으로 공식 승격됐다면서, 김 제1부부장이 2018년 한반도 평화 또는 북핵 프로그램 해결의 메신저에서 2년여만에 남북관계 단절의 선봉장으로 변모했다고 보도했다.

 

WP는 김 제1부부부장의 부상은 김 위원장이 아프다는 확실한 증거가 없음에도 그의 건강이 최상의 상태가 아니라는 추측에 새로운 불을 지피는 깜짝 놀랄만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자신의 권력을 가족과 함께 공유하려 한다는 추측도 낳는다고 했다.

 

전(前) 미국 정부 북한 분석가였던 레이철 민영 리는 WP에 "북한 관영 매체가 김 제1부부장의 발언을 기사와 집회, 인민 반응의 기준점으로 내세우면서 '이례적으로 명확한 입장(unusually high profile)'을 취했다"면서 "이는 다른 비(非)백두혈통 지도자에 비해 김 제1부부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의도"라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조치는) 김 제1부부장에 대한 평가를 북한 지도자의 여동생이 아니라 독립된 정책 입안자로 바뀌게 했다"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주가량 공식 석상에 등장하지 않아 중병설 또는 사망설을 촉발시킨 바 있다.

 

아시아 전문가인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김 위원장이 지난 4월11일 이후 관영 매체에 3차례만 등장한 것 등을 언급한 뒤 "김 위원장의 건강에 뭔가 문제가 있다"며 "그럴수록 대행이 중요하다. 누가 대행이 될 수 있겠나. 권력을 독점하지 않을 누군가 뿐이다"고 했다.

 

란코프 교수는 "미래 권력 승계자가 어리다면, 믿을만하고 배신하지 않을 형제자매를 선택하는 것이 김 위원장 일가에서는 이미 확립된 전통"이라고 했다. 미 보수 성향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의 북아시아 전문가인 브루스 클링너도 김 제1부부장의 부상이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김 위원장도 지난 2008년 부친인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이 뇌졸증으로 쓰러진 뒤 권력 승계 작업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다만 클링너는 김 위원장이 공식석상에 등장하지 않는 것이 건강 이상 때문이라는 증거는 없다면서 한국 정부는 김 위원장이 단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피해 은신해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고 전했다.

 

클링너는 "김 위원장이 공식석상에 복귀했을 때 허약하기 보다는 생기 있어 보였다. 물론 건강한 모습은 아니었다. 여전히 그는 병적으로 뚱뚱했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 제1부부장의 강경 발언을 북한 정권내 자신의 입지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한다.

 

'국민의 정부' 당시 대북특사로 활동한 박지원 전 의원은 "김 제1부부장의 남한에 대한 강경 발언은 북한 내부를 겨냥한 것으로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WP는 박 전 의원의 낙관론은 폭 넓은 공감대를 얻지 못한다고 했다. 또다른 전문가들은 김 제1부부장의 강경 발언은 북한 내부의 우선순위 변화를 반영한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북한 정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위협을 느끼고 긴장을 늦추려 하자 김 제1부부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한국에 방문, 친근하고 덜 위협적인 이미지를 내비쳤다는 것이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은 현재 위협 수위를 높여 남한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김 제1부부장은 전 세계에 (과거와)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