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가 끝났어도 필독)[필독]경자년 구정을 맞이하기전에 - 글 속 네 가지가 증권투자및 주식투자실전의 핵심임을 명심하시고요~~~~~
http://blog.daum.net/samsongeko/8987
신종 코로나 최악 시나리오... "4월 절정기에 수십만 감염 가능..."
'글로벌 대유행' 가능성... "이동통제·행사취소 등 가혹한 조치 필요..."
감염자, 2∼3명에 전파... "신속한 격리·치료로 재감염 막아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이 급속도로 확산하는 가운데 4, 5월 절정기에 수십만 명이 우한 폐렴에 걸릴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제시됐다.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명보 등에 따르면 홍콩대 전염병역학통제센터를 이끄는 가브리엘 렁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우한 내에서만 이미 4만 명을 넘어섰다고 추산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8일 0시 현재 전국 30개 성에서 '우한 폐렴' 확진자는 4천515명, 사망자는 106명이라고 발표했다. 렁 교수는 지난 25일까지 우한 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증상이 이미 나타난 환자가 2만5천360명이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잠복기에 있는 환자를 포함하면 그 수는 4만3천590명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렁 교수는 "공중 보건 조치가 없으면 감염자 수는 6.2일마다 2배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번 전염병의 '글로벌 대유행'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인구가 3천만 명을 넘고 우한에 인접한 중국 충칭(重慶)시에서 대확산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충칭에서 대유행의 절정이 지난 2주 후에는 베이징, 상하이 등에서 급속히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대유행의 절정기에는 충칭에서만 하루 15만 명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우한 등의 대도시에서는 하루 2만∼6만 명의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렁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절정을 지난 후 6, 7월에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다만 이러한 시나리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이를 막기 위해서는 '가혹한' 중대 조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람들의 이동 통제, 대중 행사 취소, 휴교, 자택 근무 등 엄격한 조처를 통해 우한 폐렴의 확산 가능성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얘기이다. 렁 교수는 홍콩 정부에 대해서도 입경 금지 확대 등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홍콩 정부는 전날부터 우한시가 있는 후베이(湖北)성 거주자나 최근 14일간 후베이에 머물렀던 적이 있는 사람들의 입경을 원칙적으로 불허하기로 했다. 하지만 홍콩 의료계 등에서는 우한 폐렴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 본토인의 홍콩 입경을 전면적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우한 폐렴에 걸린 사람이 주변 사람 2∼3명에게 병을 퍼뜨릴 수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공중위생 전문가인 닐 퍼거슨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 1명이 평균적으로 병을 전파하는 대상이 2.6명이라고 추정했다.
영국 랭커스터대학은 이 수치가 3.6∼4.0명, 중국 광저우질병예방통제센터는 2.9명이라고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우한 폐렴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이 재감염 수치를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Ro'로 불리는 재감염 수치가 1명 이상일 때는 대유행의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이를 1명 이하로 떨어뜨리게 되면 우한 폐렴이 소강상태로 접어들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다만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달리 우한 폐렴은 잠복기에도 병을 퍼뜨릴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사스보다 확산 속도가 훨씬 빠르고 그 규모가 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광저우질병예방통제센터는 "감염 속도는 무엇보다 당국이 얼마나 신속하고 단호한 조처를 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조기 발견과 진단, 신속한 격리와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닐 퍼거슨 교수는 "감염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대중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충분히 알리고 사람 간 전염의 위험을 최대한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러한 통제 조처를 할 경우 감염 속도는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황종합] 우한폐렴에 '급락' 코스피 2180p선 붕괴... 달러·금↑
코스피 -3.09% 하락 2176.72p, 코스닥 -3.04% 내린 664.7p
달러/원 환율 8.0원 오른 1176.7원 마감, 금값도 상승...
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 공포 확산으로 코스피 2180선이 붕괴됐다. 코스닥도 3% 넘게 떨어졌다. 달러/원 환율은 8원 올랐다. 달러와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은 강세를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23일)과 비교해 69.41포인트(3.09%) 내린 2176.72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코스피가 218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8일(2151.31) 이후 12거래일 만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247억원, 1924억원 순매도했고 개인이 홀로 6686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거래일, 2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개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
업종별로 보면
의약품(0.59%), 종이목재(0.52%) 등은 올랐고 섬유의복(-6.12%), 화학(-5.26%), 유통업(-4.95%), 철강금속(-4.92%), 증권(-4.58%), 운수창고(-4.03%), 의료정밀(-3.91%) 등은 떨어졌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중
삼성바이오로직스(2.28%), 현대차(0.38%)는 상승했고 삼성물산(-4.27%), LG화학(-3.44%), 삼성전자(-3.29%), 셀트리온(-2.85%), 현대모비스(-2.58%), NAVER(-2.46%), SK하이닉스(-2.43%), 삼성전자우(-2.39%)는 하락했다.
노 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낙폭은 2거래일 휴장을 한 번에 반영한 탓"이라며 "외국인이 IT 섹터 위주로 차익실현 규모를 늘리고 있어 낙폭을 키웠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 초입이라는 점에서 해당 재료를 소화할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며 국내 증시의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8.0원 오른 1176.7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우한폐렴으로 글로벌 증시가 휘청이자 안전자산인 금도 강세를 나타냈다. KRX금시장에서 거래되는 1g당 금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120원(1.91%) 상승한 5만9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전 거래일 대비 무려 530% 증가한 122.917kg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