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일본대성토전 - 한국경제진단:네번째]그 수십년간 니네들이 필요한 규제개혁은 다 가져갖지 않는가...!!! 이제 나라가 필요한 투자를 해라.....

 


  [대일본성토전 - 한국경제진단:세번째]최근 그 재벌들이 죽여놓은 대표적인 케이스... 혁신경제의 아이콘... KOSDAQ/Bio고 말이다...!!!!

 http://blog.daum.net/samsongeko/8322


 [대일본성토전 - 한국경제진단:두번째]그리고 있는 것들과 재벌들은 40년간 한국경제를 수출과 일본에 목매는 병신경제를 만들어 놨다...!!!!

 http://blog.daum.net/samsongeko/8315


 [대일본성토전 - 한국경제진단:첫번째]지난 40년간 보수(우익) 꼴통들이 혁신 성장에는 온갖 태클을 걸었다...!!! 있는 자들과 대기업들을 위해서~~~

 http://blog.daum.net/samsongeko/8309

 

 대한민국 죽었나...?? 내가 알고 있는 현실은... 삼성/조중동(동은 판단유보중), 자한당을 비롯하여 국민의 40% 이상이 일본의 이익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http://blog.daum.net/samsongeko/8285


 

 

 "韓·中·日 9대 주력산업 5년 후엔 반도체 빼곤 中이 압도"

 한경연, 9대 주력산업 3국 경쟁력 비교 전망 조사...
 한일 소재‧부품분야의 기술격차 두드려져... 韓 R&D 종합환경도 낙후...

 

 


 반도체, 기계, 자동차 등 한국의 9대 주력산업에서 중국이 5년 후에 반도체를 제외하고 전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석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력 산업군에서 '차이나 파워'가 갈수록 공고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한국의 9대 수출주력산업(반도체, 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디스플레이, 섬유, 조선, 전자) 협회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한·중·일 세계시장 점유율을 조사한 결과, 2000년 한·중·일 3국간 1위 산업 개수는 일본 6개, 한국 2개, 중국 1개였지만 현재는 중국 7개, 한국 1개, 일본 1개로 나타났다.


 5년 후인 2024년 말경에는 중국 8개, 한국 1개, 일본 0개로 전망됐다. 반도체를 제외한 전 분야에서 중국이 우위를 점할 것이란 분석이다. 철강, 조선, 자동차, 전자 등 한국의 주력산업은 20여 년 전 일본의 주력산업이었지만, 미래에는 중국이 압도적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을 100으로 가정하고 3국의 9대 주력업종 기술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2000년에는 일본 113.8, 중국 59.6으로 일본의 기술력이 상당한 우위였으나 올해 6월말에는 일본 102.8, 중국 79.8로 3국간 기술력 격차가 크게 줄었다. 5년 후에는 일본 97.4, 중국 89.1로 격차가 더욱 줄어 한국의 기술력에 대한 비교우위도 상당 부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는 중국의 경우 9대 산업 중 무선통신기기(96.3%), 철강·디스플레이(91.7%), 자동차(91.3%), 섬유(91.1%), 선박(90.9%) 등 6개 산업은 5년 뒤 한국 기술력의 90% 이상까지 추격해 우리 산업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본은 종합 기술경쟁력면에선 5년 후 우리가 소폭 앞설 것으로 예측되나 자동차(117.4%), 섬유(116.3%), 석유화학(108.3%), 일반기계(107.1%) 등에서는 한국에 비해 기술경쟁력이 여전히 우위에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3국간 기술경쟁력을 분야별로 보면 현재는 일본이 제품설계경쟁력, 소재경쟁력, 부품경쟁력, 조립가공경쟁력, 공정관리경쟁력 등 관련 전 분야에서 우위를 점했다. 한국과 일본의 기술격차 폭은 Δ소재경쟁력 27.3 Δ부품경쟁력 22.8 Δ공정관리경쟁력 9.0 Δ제품설계경쟁력 7.0 Δ조립가공경쟁력 3.0 순으로 현재 한일 간 소재‧부품분야의 기술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종합환경은 한국을 100으로 가정할 때 중국은 100.1로 한국과 유사했고, 일본은 110.5로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R&D 환경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일본은 기초과학경쟁력(127.3)이 상당히 높았고, 산학연 협력수준(107.3)과 인력수준(106.8)에서도 비교우위를 나타냈다. 중국은 정부지원수준(133.9)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으며, CEO 관심도(106.4)에서도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은 R&D 세부 분야 중 1위가 하나도 없었다.


 업종별 협회 정책담당 부서장들은 한국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R&D 활성화를 저해하는 규제개혁이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 산학연 협력 활성화, R&D 정부지원 강화 등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