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A 공식논평 -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상식적이지 못하다...?? 미개한 개도국 중국 왕서방들, 최소한 미안하다는 말이라도 해라~~~
http://blog.daum.net/samsongeko/7848
NASA 사진에 딱 걸렸다, 중국 미세먼지 오리발...
최근 서울 등 수도권과 충청권 등에서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 일주일씩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가 시행됐다. 고농도 미세먼지는 국내외 오염물질이 쌓인 탓이고, 특히 중국에서 날아온 오염물질도 주요한 원인을 제공했다. 이에 대해 중국 측에서는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지난 6일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온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서울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당 147㎍(1㎍=100만분의 1g)을 넘었지만 최근 이틀간 베이징에는 미세먼지가 없었던 것 같다"며 '중국 책임론'을 반박했다.
하지만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중국발 오염물질이 한반도 상공으로 날아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NASA의 테라/아쿠아(Terra/Aqua) 위성 사진을 보면 지난달 26일에는 한반도 상공에 별다른 미세먼지 없이 깨끗하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 상공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27일. 이후 지난 6일까지도 한반도 상공은 미세먼지로 뿌옇게 변했고, 7일에야 걷혔다.
이런 상황들이 NASA의 테라/아쿠아 위성 사진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테라/아쿠아 위성은 NASA 지구관측시스템(Earth Observing System, EOS)의 핵심 장비로 지구 주변 궤도를 돌면서 강수량이나 증발량 등을 조사한다. 테라 위성은 1999년에, 아쿠아 위성은 2002년에 발사됐다.
또, 24일에는 84㎍/㎥, 25일에는 86㎍/㎥로 '매우 나쁨'으로 악화했고, 26일까지도 73㎍/㎥를 기록했다. 중국 오염물질의 영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 밖에도 NASA 홈페이지에는 중국의 대기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위성 사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 상공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27일. 이후 지난 6일까지도 한반도 상공은 미세먼지로 뿌옇게 변했고, 7일에야 걷혔다.
이런 상황들이 NASA의 테라/아쿠아 위성 사진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테라/아쿠아 위성은 NASA 지구관측시스템(Earth Observing System, EOS)의 핵심 장비로 지구 주변 궤도를 돌면서 강수량이나 증발량 등을 조사한다. 테라 위성은 1999년에, 아쿠아 위성은 2002년에 발사됐다.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팀이 천리안 위성 해양관측 탑재체(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미세먼지(에어로졸) 영상에서 중국발 미세먼지의 유입이 확인된다.
지난 4일 오전 중국 베이징과 그 북쪽에서부터 붉은색으로 표시된 짙은 미세먼지 띠가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수도권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서쪽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남동쪽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한 기상전문가는 "중국 측에서는 이 같은 인공위성 영상을 놓고도 '인공위성 사진은 지표면부터 높은 고도까지 공기층을 한 번에 표시하는 것이어서 한반도에 영향을 준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못 된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지표면 가까운 공기층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그대로 동쪽으로 빠져나간다는 게 중국 측의 주장이다.
이 때문에 중국 측에 미세먼지 오염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관측 영상과 대기오염 모델링 결과 등을 상호 비교하면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최근 언론을 통해 미세먼지 이동 상황으로 자주 소개되고 있는 '어스눌스쿨(earth.nullschool.net)'의 이미지는 실제 인공위성 사진이 아닌, 대기오염 모델링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지난 4일 오전 중국 베이징과 그 북쪽에서부터 붉은색으로 표시된 짙은 미세먼지 띠가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수도권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서쪽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남동쪽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한 기상전문가는 "중국 측에서는 이 같은 인공위성 영상을 놓고도 '인공위성 사진은 지표면부터 높은 고도까지 공기층을 한 번에 표시하는 것이어서 한반도에 영향을 준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못 된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지표면 가까운 공기층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그대로 동쪽으로 빠져나간다는 게 중국 측의 주장이다.
이 때문에 중국 측에 미세먼지 오염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관측 영상과 대기오염 모델링 결과 등을 상호 비교하면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최근 언론을 통해 미세먼지 이동 상황으로 자주 소개되고 있는 '어스눌스쿨(earth.nullschool.net)'의 이미지는 실제 인공위성 사진이 아닌, 대기오염 모델링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NASA는 과거에도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 등 동아시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2004년 10월 22일 사진이다. 이 위성 사진은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대기오염 물질이 제주도 남쪽을 돌아 일본에 영향을 주고 있는 모습을 포착했다.
특히, NASA는 2014년 2월 두 장의 사진을 나란히 비교하면서 중국발 오염물질의 이동을 설명했다. NASA는 20일 사진에서는 오염물질이 중국 북부 평원에만 한정돼 있었지만, 25일 사진에서는 한반도는 물론 동해와 일본까지 퍼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NASA는 2014년 2월 두 장의 사진을 나란히 비교하면서 중국발 오염물질의 이동을 설명했다. NASA는 20일 사진에서는 오염물질이 중국 북부 평원에만 한정돼 있었지만, 25일 사진에서는 한반도는 물론 동해와 일본까지 퍼졌다고 지적했다.
중국 기상청이 황색경보를 발령했던 2014년 2월 24~25일 당시 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444㎍/㎥까지 치솟았고, 시정거리는 2㎞도 채 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서울은 2014년 2월 21일 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35㎍/㎥ 수준으로 '보통'이었는데, 22일에는 51㎍/㎥, 23일에는 58㎍/㎥로 치솟았다.
또, 24일에는 84㎍/㎥, 25일에는 86㎍/㎥로 '매우 나쁨'으로 악화했고, 26일까지도 73㎍/㎥를 기록했다. 중국 오염물질의 영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 밖에도 NASA 홈페이지에는 중국의 대기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위성 사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지난해 11월 26일 중국 베이징에서는 짙은 스모그가 발생했고, 북쪽 네이멍구 등에서는 황사가 발생했는데 이를 NASA 테라/아쿠아 위성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베이징은 11월 26일 초미세먼지가 200㎍/㎥를 훨씬 웃돌았고, 이 미세먼지는 곧바로 한국으로 밀려왔다.
당시 서울의 초미세먼지 일평균 농도는 11월 25일 34㎍/㎥로 '보통' 수준이었고, 26일에는 42㎍/㎥로 '나쁨', 27일에는 52㎍/㎥를 기록했다.
당시 서울의 초미세먼지 일평균 농도는 11월 25일 34㎍/㎥로 '보통' 수준이었고, 26일에는 42㎍/㎥로 '나쁨', 27일에는 52㎍/㎥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