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LCD TV 추월에~~ 이래저래 정치판이 경제에 뒷전이니 대한민국만 죽어나가는구만~~~

 

 

 중국 춘절 소비 '주춤'... 해외 여행객만 늘었다...

 

 중국인들의 춘절 연휴(春節, 2월 4~10일)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0일(현지시간) 중국 상무부 발표를 인용해 중국 내 소매 및 음식업 매출이 전년대비 8.5% 증가한 1조50억 위안을 기록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춘절 소비의 성장률이 두 자리수 이하로 떨어진 건 상무부가 통계를 시작한 2005년 이래 처음이다. 중국 경기 둔화 영향이 중국 최대 성수기인 춘절 소비에까지 미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미국과의 무역 갈등의 여파로 주가가 하락하고 부동산 시장이 주춤하는 등 소비 심리가 위축된 탓도 있다.

 

 중국의 대형 연휴는 춘절과 10월 국경절(건국기념일) 기간으로 이 기간 귀성객이나 여행 등으로 많은 중국인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소매 및 음식업계에겐 특수를 기대할 수 있는 대목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춘절 기간 매출은 향후 1년을 점치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춘절 기간 중 소매 및 음식업의 매출 증가율(8.5%)은 전년 대비 1.7%포인트 밑돌았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닷컴의 거래액이 전년보다 42% 증가하는 등 인터넷 매출이 성장률의 견인차 역할을 했지만 백화점과 쇼핑센터의 판매가 줄면서 성장세가 한 자리대에 머물렀다.

 

 엔터테인먼트 산업 역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뒀다. 춘절 기간 동안 영화 흥행 수입은 58억 위안으로 중국 언론들의 당초 예상인 60억 위안에 미치지 못했고, 흥행의 기준이 되는 10억 위안에 도달한 작품은 3개 작품에 불과했다.

 

 국내 여행객은 4억1,5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7% 증가했지만 지난해 성장률(12​​%)보다 크게 둔화됐다. 단, 해외 여행객은 700만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 춘절 여행지로 인기가 높은 상하이 디즈니랜드 역시 특수를 누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春節)이 다가오면서 한국 화장품업계와 일본 화장품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중저가 라인을 내세우고 있는 국내 화장품 업계의 주가는 신통찮은 반면, 고가 라인업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히는 일본 화장품 업계는 중국향 소비 증가에 환호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 조치로 중국 단체관광객이 한국 대신 일본을 찾은 것도 한국 화장품주가 부진한 이유로 꼽힌다.

 

 춘절에도 韓 화장품株 '울상'... 고급화 전략 日 화장품株는 '방긋'

 

◇ 춘절에도 고꾸라진 韓 화장품株…중저가 라인 한계봉착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090430)은 전날 대비 2.74% 떨어진 17만 7500원에 장을 마쳤다.

 

 잇츠한불(226320)과 토니모리(214420) 역시 각각 3.96%, 2.72% 하락했다. 이는 중국의 춘절 특수효과가 기대를 밑돌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화장품업계는 당초 지난 4일부터 10일까지 이어지는 춘절 기간동안 대규모의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으면서 화장품 등 소비주의 매출확대를 안겨줄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이번 춘절 기간동안 한국을 찾은 중국인 여행객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에 따르면 올해 춘절 해외여행을 떠난 중국인은 전년 대비 7.7% 늘어난 700만명에 달하지만, 한국은 중국인들이 찾은 해외여행지 상위 10위 안에도 들지 못했다.

 

 이에 더해 중저가 중심인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도 한계에 달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의 중저가 화장품 업체들이 성장함에 따라 한국 중저가 업체들의 상대적 매력이 경감됐기 때문이다. 특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중국 법인 매출에서 이니스프리와 라네즈 등 중저가 제품의 매출 비중이 60~70%에 육박한다.

 

 ◇ 日 화장품株는 상대적 수혜... “中 단체관광객 회복·럭셔리化 관건”

 반면 중국 시장을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 화장품 업체는 상대적인 수혜를 받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 화장품 기업인 시세이도의 주가는 춘절을 전후로 지속적으로 올라, 2월 들어서만 11%나 뛰었다.

 

 이는 한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를 배치한 것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한한령 조치를 취하면서 한국을 찾으려 했던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여행지를 선회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씨트립 조사에서도 중국인들의 방문 상위 국가는 △1위 일본 △2위 태국 △3위 홍콩 △4위 싱가포르 △5위 베트남 순이었다.

 

 여기에 일본 화장품 회사들이 브랜드의 럭셔리화를 꾀했던 것도 결정적이라는 분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시세이도는 방일 외국인 수요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수출이 실적 성장을 견인한 덕에 지난해 4분기 실적도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됐다.

 

 증권가에선 단체관광객 회복과 럭셔리화가 한국 화장품업계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 내다봤다.

 

 신수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춘절이나 중국 국경절이라고 해서 갑자기 중국인 관광객이 늘진 않고 결국 중국인 단체관광이 풀리느냐가 관건”이라며 “조사를 해보면 많은 중국인들이 일본과 한국을 비교한 끝에 한국을 찾았던 만큼 한한령 이후에 한국 관광 수요가 일본으로 빠져나가면서 일본 화장품 업체들이 상대적 수혜를 봤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세이도의 경우 2015년부터 브랜드 럭셔리화를 꾀한 반면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내수 업체와도 경쟁이 심한 중저가 라인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다만 LG생활건강(051900)의 경우 중저가 라인인 더페이스샵의 매장을 상당수 철수하고 ‘후’나 ‘숨’같은 고가 라인에 힘 쓰며 상대적으로 주가가 선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LG생활건강은 지난달 25일 이후 7거래일 동안 9.56% 올랐다.

 

 

 

 LCD TV마저... 한국, 중국에 추월당하다...

 작년 글로벌 시장점유율 中 31.9%, 韓 30.6%..10년 아성 '흔들'
 中 업체들, 저렴한 가격 무기로... LCD패널 이어 TV도 선두 올라...
 한국 업체들, 대형·초고화질 등...  프리미엄 TV 시장에 집중 전략...

 

 지난해 전 세계 LCD(액정표시장치) TV 시장에서 중국이 한국을 처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LCD 패널 생산 국가였던 한국은 이미 2017년 대만과 중국의 물량 공세를 이겨내지 못하고 1위 자리를 빼앗겼다.

 

 갈수록 LCD TV 시장에서의 점유율 격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10여 년간 지켜온 TV 시장의 ‘메이드 인 코리아’ 아성이 무너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기업들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와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마이크로LED 등 고가의 프리미엄 TV를 중심으로 ‘기술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中, LCD 패널 이어 TV 시장 잠식...

 

 10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전 세계 LCD TV 출하 대수는 1억5217만 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 업체가 31.9%(4856만 대)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한국이 4658만 대(30.6%)로 뒤를 이었고 △일본 2219만 대(14.6%) △유럽 421만 대(2.8%) △미국 358만 대(2.4%) △대만 290만 대(1.9%) 순이었다.

 

 중국이 LCD TV 출하 대수에서 한국을 제치고 글로벌 1위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7년에는 한국 점유율이 32.4%로, 중국(27.2%)을 큰 차이로 앞섰다. 지난해 3분기 중국 점유율이 34.7%까지 높아지면서 한국과의 격차는 점점 더 커지는 양상이다.

 

IHS마킷은 보고서에서 “LCD TV 패널 시장에서 중국이 2017년부터 한국을 앞서더니 지난해부터는 LCD TV 시장에서도 한국을 추월하기 시작했다”며 ‘떠오르는 중국(rising China)’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업체들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한국 업체들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하이센스, TCL, 스카이워스 등 중국 내수 시장 강자들이 북미 시장에서도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샤오미의 저가 공세도 매섭다. 삼성과 LG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쓰면서도 55인치 4K TV를 35만원 선(2199위안)에 내놓고 있어서다.

 

 패널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들이 한국 업체들을 추월했다. 지난해 전 세계 LCD 패널 시장에서 중국 BOE가 점유율 23%를 기록하며 LG디스플레이(20%)를 앞섰다.

 

 대만 이노룩스(17%)와 AUO(15%)는 삼성디스플레이(8%)를 제치고 각각 3, 4위에 올랐다. IHS마킷 보고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여전히 세계 TV 시장에서 1,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이 주도권을 가져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예상했다.

 

 韓, 프리미엄 시장 주도권 잡는다...

 

 한국 업체들은 기술력을 앞세워 대형·초고화질 프리미엄 TV 시장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의 올레드 TV 출하 대수는 2016년 66만6400대에서 2017년 117만8000대로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104만5000대를 팔았다. LG전자와 소니, 파나소닉 등이 속한 ‘올레드 진영’ 시장 규모도 급속하게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올레드 TV 출하 대수는 2017년 159만2000대에서 지난해 254만 대로 증가했다. 올해는 3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삼성전자도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 확대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8K QLED TV를 ‘대표주자’로 내세워 글로벌 TV 시장 1위 자리를 지킨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에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48.2%, 75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54.1%의 점유율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까지 글로벌 TV 시장에서 49분기 연속 점유율 1위를 지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