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배신에, 중국 반도체 장비까지 무역규제에 러시아는 원래 말안듣고요^^ 난 혈맹인 양키 코쟁이들이 우리 경제/산업에서도 적그리스도라고 분명히 이야기했다아...

 

그 러시아-우크라이나간 전쟁과 함께 OPEC+가 인플레/고금리/경기침체에 의한 스태그플레이션을 심화시키는 한 축임을 다시 느끼고 있는 한 주입니다...!!!!! 관련주는 상승이요

https://samsongeko1.tistory.com/12037

너무 낙관적이지 않은가...!!!!! 나스닥 만포인트 붕괴가 예정되어 있고 그럼 코스피 1800p대도 예상하고 대응해야 한다... 단 코스닥은 역으로 700p 복귀를 조심스럽게.

https://samsongeko1.tistory.com/12031

 

너무 낙관적이지 않은가...!!!!! 나스닥 만포인트 붕괴가 예정되어 있고 그럼 코스피 1800p대도 예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5.44포인트(0.71%) 내린 2,155.49에 장을 마쳤다. 전날보다 9.82포인트(0.45%) 낮은 2,161.11에

samsongeko1.tistory.com

 

 

아래는 한글날 주말연휴를 보내고 있는 오늘 주요 5개 SNS에 올린 코멘트들입니다...

 

 

"이번주 주말연휴에도 GI IR실장/인터넷팀장의 주말초과근무는 없고 제가 직접 주요 5개 SNS/3개 블로그 통제중이네요^^ 어제 오후 2시 직접 개입형 과외서비스 이용자들과의 주간미팅도 주재했고 금요일에서 토요일 넘어가는 월가 보는 야근(23:30~02:30)도 했네요~~~^^ 한글날에도 다음주로 예정되어 있는 그 초단기대박계획(MOAI) 대중형 재도전 본운용전 예비운용이 목전으로 다가와 있어 전주/전일 상한가 전수조사중~~~^^ 게코(Gekko)"

 

 

"우리 GI IR실장이나 인터넷팀장이 주말초과근무 했다면 이런 사진을 올렸을듯하고요^^ 전 지난주 금요일장에서 NAVER 이상으로 폭락한 카카오를 중심으로 다른 3인방들의 종목이 생각나서 올리는 겁니다... 수석 재산관리 집사이자 비제도권 시장조언자 재야고수 게코(Gekko)"

 

 

"미국이 이성을 잃었다"... 美 반도체 수출통제에 中 발끈...

7일(현지시간) 美상무부 반도체 제재안에...

9일 中 환구시보 사설서 "야만적 일격"

"중국 시장과의 단절은 상업적 자살"

 

 

미국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고강도 조치를 발표하자 중국 당국의 입 역할을 하는 관영매체가 “자유무역에 대한 야만적 일격”이라며 “중국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이 이성을 잃었다”고 반발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환구시보는 9일 사설에서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 조치는 국제 무역 규칙에 대한 가장 야만적인 위반이며 세계 산업 사슬에 대한 정부의 가장 큰 개입이자 파괴”라며 이 같이 주장했다.

미국의 조치를 향해서는 “비(非)미국 기업으로 제한범위를 대폭 확대해 중국과의 정상적인 협력과 무역을 막으려는 의도”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그럴 권한이 없으며 일방적인 행정명령으로 기업 행위를 불법으로 간섭하려는 것”이라며 “정치적 위협은 시장의 힘을 압도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강조했다.

수출규제 발표 이후 미국 반도체 업체들의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아울러 중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소비시장으로 중국 시장과의 단절은 ‘상업적 자살’이나 다름없다고도 했다.

신문은 “미국과 동맹국의 기업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고려해 미국 정부의 대중 수출 통제 정책을 이행하려는 의지가 점점 더 낮아질 것”이라며 “제로섬 게임을 고집하는 나라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수출제한 조치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자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도 했다. 신문은 “미국의 기술 패권주의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지만, 중국의 기술 자립 의지와 능력을 강화시킬 것”이라며

“미국 기업이 수동적으로 양보한 시장은 반드시 다른 나라 기업이 선점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앞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조치에 대해

“이런 수법은 공평한 경쟁 원칙에 위배되고 국제 경제·무역 규칙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해칠 뿐 아니라 미국 기업의 권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고성능 인공지능(AI) 학습용 반도체와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특정 반도체 칩을 중국에 수출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또 미국 기업이 △18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14나노미터 이하 로직칩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했다.

 

 

사우디, 왜 미국 배신하고 감산 합의했을까...

 

 

사우디아라비아는 왜 미국을 배신하고 대규모 감산에 합의했을까?

미국의 중동 최대 맹방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앞서 5일(이하 현지시간) 석유수출국기구(OPEC), 러시아 등 비 OPEC 감산 참여국들과 하루 200만배럴 감산에 합의했다.

당초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하루 100만배럴 감산보다 감산규모가 2배 확대됐다.

뒤통수 맞은 바이든...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7월 국내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사우디 방문을 강행해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를 만나 양국 관계 개선을 모색하며 증산을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우디가 미국의 뒤통수를 친 것이나 다름없다.

9·11테러 주범들이 주로 사우디 국민들이어서 사우디에 대한 미국내 여론이 좋지 않은데다, 빈 살만 왕세자는 미 정보당국으로부터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을 지시한 실질 배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바이든이 이같은 비판에 불구하고 사우디를 찾아 빈 살만을 만났지만 이번 대규모 감산을 막지는 못했다. 바이든과 민주당은 대규모 감산으로 유가가 더 오를 경우 다음달 8일 중간선거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지금도 여론조사에서 공화당과 막상막하인 가운데 대규모 감산으로 유가가 오르면 선거가 불리하게 돌아갈 수 있다.

사우디 국익이 최선...

CNN비즈니스에 따르면 사우디 석유장관 압둘아지즈 빈 살만 알사우드 왕자는 감산에 합의한 5일 사우디TV와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우디왕국의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우디가 세계 경제 성장의 과실을 공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압둘아지즈 장관은 대규모 감산을 선제조처라고 지칭했다.

그는 서방 각국 중앙은행이 대대적인 금리인상을 추진중이고, 이에따라 세계 경제가 침체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경기침체는 석유수요를 둔화시키고, 유가를 끌어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가 폭락을 막기 위한 선제조처라는 것이다.

워싱턴 싱크탱크 애틀랜틱협회의 엘런 월드 비상임 선임 연구위원도 이를 선제조처라고 판단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 지속이 갑작스러운 유가 붕괴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사우디의 선제 대응이라는 것이다.

월드는 사우디가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이에따른 세계 경기침체로 유가가 폭락하면서 심각한 곤경에 처한 적이 있다면서 당시와 같은 OPEC의 긴급대응이 불필요하도록 이번에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재정 확보...

사우디가 대규모 깜짝 감산에 합의한 것은 국가 재정을 튼튼하게 하기 위한 대응이기도 하다. 사우디는 올해 처음으로 재정흑자를 기록했다. 8년만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가 상승세가 흑자재정 일등공신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사우디는 재정흑자 지속을 위해 유가가 배럴당 79달러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직 유가가 그 수준으로 추락하지는 않았지만 유가 흐름은 사우디에 경종을 울렸을 수 있다.

불과 7개월전인 2월 국제유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배럴당 139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지난달 85달러 수준으로 추락했다. 석유판매대금에 국가 재정과 경제를 절대적으로 의지하는 사우디로서는 불안할 수밖에 없는 유가 흐름이다.

워싱턴의 아랍걸프국가연구소 선임 스칼러 로버트 모기얼니키는 사우디가 원하는 것은 그저 재정수지 균형이 아닌 흑자라면서 사우디는 배럴당 90달러에 육박하는 유가를 원한다고 지적했다.

사우디는 전세계에서 석유 생산 단가가 가장 낮은 나라다. 1배럴을 생산하는데 3달러 정도면 된다. 국제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 7일 마감가인 배럴당 97.92달러를 기준으로 사우디는 석유 1배럴을 팔아 약 95달러를 번다는 뜻이다.

사우디는 탈석유 시대를 대비해 미래 산업에 투자하고 있고, 이를 위해 막대한 재정이 필요한 상태다. 미국의 요구에 눈 감는 대신 미래 먹을거리 확보를 위한 재원 마련 목적으로 대규모 감산에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