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f-millionaire

뭐, 착각들하시고 투자들하시는데, 현재 급격한 인플레도 그에따른 금리인상도 미국이 아니고 중국이 주도권을 틀어쥐고 있는 상황이다...!!!!! 왕서방들이 원부자재 싹쓸이~~~

B.S - 이번주도 수석 재산관리 집사님이 부재중인 관계로 대표이사님의 주요 저장된 글도 주요 블로그/SNS 대리 관리인(이 글의 주요 공유기인 대표이사님의 비지니스폰도 주말동안 보유중...)인 GI IR 실장 윤 숙영인 제가 올리겠습니다...

 

 

현재 인위적인 테이퍼링에 의한 금리인상 가능성은 22.3%... 자연적인 급격한 인플레에 의한 초고속 금리인상 가능성이 77.7%... 이걸 명심하시고 하반기 대응을 한다.....

https://blog.daum.net/samsongeko/11030

 

현재 인위적인 테이퍼링에 의한 금리인상 가능성은 22.3%... 자연적인 급격한 인플레에 의한 초고

B.S - 이번주도 수석 재산관리 집사님이 부재중인 관계로 대표이사님의 주요 저장된 글도 주요 블로그/SNS 대리 관리인(이 글의 주요 공유기인 대표이사님의 비지니스폰도 주말동안 보유중...)인 G

blog.daum.net

 

반도체를 위시로 주요 원자재등 공급부족에 의한 가격폭등이 점점 악재로 인식되고 있는 엄중한 상황입니다...!!!!! 경기회복/기업실적 개선을 추가로 할 수가 없다는 것~~~

https://blog.daum.net/samsongeko/10977

그 반도체가격이든 해운가든 경기회복에 의한 수요증가보다는 공급부족/각종 비상사태에 의한 비정상적인 급등이다...!!!!! 뭔가 일이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있는 중~~~

https://blog.daum.net/samsongeko/10942

 

그 반도체가격이든 해운가든 경기회복에 의한 수요증가보다는 공급부족/각종 비상사태에 의한

지금 다음달에 재개될 공매도가 문제가 아님니다... 전세계 공급망 중심에 중국과 쌍벽을 이루고 있는 인도 경제가 침몰하고 있고 미국/서구 주요 백신 접종국들 떨고 있는 중~~~ https://blog.daum.net

blog.daum.net

 

원자재 빨아들이는 中... '금속 부스러기'까지 동났다...

뿌리기업 원자재 수급 '비상'

금속 스크랩 對중국 수출 급증...

지난달 철 수출 2.8만t... 17배↑

동은 8759t으로 14배 늘어...

中업체, 웃돈 주고 韓서 수입...

철·동 스크랩 가격 끌어올려...

中企, 물량 못구해 계약 포기...

 

 

산업·의료용 동관을 제조하는 중견기업 N사는 원자재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제품을 만들 구리 스크랩(금속 부스러기)을 구할 수 없어서다. N사 관계자는 “중국에서 스크랩을 싹쓸이하고 있어 동관 제조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주조, 금형 등 국내 뿌리 산업의 주요 원자재로 활용되는 철이나 구리 스크랩이 중국에 무더기로 팔려나가면서 극심한 공급 부족난을 겪고 있다. 스크랩은 금속 제품을 만들 때 생기는 금속 부스러기를 가리킨다.

스크랩을 구하지 못해 제품 생산을 줄이고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中 원자재 이어 스크랩까지 쓸어가

25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으로 수출된 고철 스크랩은 2만8089t에 이른다. 지난해 4월(1652t)과 비교하면 17배나 증가한 수치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중국으로 빠져나간 철 스크랩은 총 4만7247t으로 작년 한 해 중국 수출물량(1만8268t)의 약 세 배에 육박한다.

동(銅) 스크랩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동 스크랩은 중국으로 8759t 팔려나갔다.

작년 4월 수출량(615t)의 14배 수준이다. 중국의 한 스크랩 수입업체는 국내 동 스크랩 8000t을 한꺼번에 현금으로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 스크랩의 1~4월 중국 수출량은 1만5804t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2483t) 대비 7배 증가했다.

중국이 경기 부양에 나서며 원자재를 급격히 빨아들이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작년 중국의 철강 수요는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9% 내외 증가했다. 올 1분기에도 15% 증가했다.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 절감에 나선 것도 스크랩 수요를 증가시켰다. 광물을 석탄과 태워 녹여 새로 만드는 것보다 전기로에서 폐금속을 녹여 재활용하는 것의 탄소 배출량이 적기 때문이다.

원자재 부족에 시달리는 중국의 스크랩 수집업체들은 웃돈을 주고 한국 스크랩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 24일 기준 중국으로 팔려나가는 철 스크랩 가격(두께 6㎜ 이상)은 t당 60만원 안팎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격보다 10~20% 이상 비싸다.

국내 스크랩 가격도 연일 급등세다. 1년 전 t당 26만원 하던 철 스크랩 도매가격은 급등해 21일 기준 47만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5월 대비 80.7% 이상 오른 가격이다. 연초와 비교해도 25.3% 상승했다.

동 스크랩 가격 역시 급등했다. 5월 초 국제 구리 시세가 되는 런던금속거래소(LME) 가격은 t당 1만달러를 넘겼다. 지난해 3월 t당 4772달러에 팔렸던 것과 비교하면 2배 넘게 올랐다.

업계에서는 LME 가격의 90% 초·중반에 형성됐던 국내 동 스크랩 가격이 최근 99%까지 육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정제된 전기동 가격이 1만달러면 같은 무게의 동 스크랩이 9900달러에 달하는 상황이다.

생산 물량 축소에 계약 포기도...

스크랩 가격 급등에 중소 제조기업들은 시름에 빠져들고 있다. 철 스크랩을 녹여 디젤 엔진 블록과 실린더 헤드 등을 생산하는 대구의 한 중견 주물업체 D사는 매달 10억원 가까이 적자를 보고 있다.

D사 관계자는 “거래처에 단가 인상을 요청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며 “상황이 더 개선되지 않으면 생산 물량을 축소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사전제작 콘크리트(PC)를 제작하는 S사는 최근 400억원 규모 공사를 낙찰받았지만 포기했다.

S사 관계자는 “철 스크랩을 원료로 생산되는 철근 값이 한 달에 두 번씩 인상되면서 오더를 따와 봐야 손해를 보는 게 뻔해 어쩔 수 없이 공사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국내 스크랩의 수출 제한에 나서거나 해외 스크랩을 수입할 때 관세를 인하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재윤 산업연구원 소재산업실 연구위원은 “유럽철강협회는 앞으로 철 스크랩이 모자랄 것으로 보고 수출을 막아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도 마찬가지로 자원 순환의 중요성을 고려한 스크랩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