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증시전망..... 영화 "타짜" 평경장 왈, "예전엔~~ 입을~~~ (중략).. 어째 저것들(펌프질하는 월가/경제연론들로 대체)은 꼭 들으라고(중국) 그러는거 같아~~"
https://blog.daum.net/samsongeko/10811
영화 "타짜" 평경장 왈, "예전엔~~ 입을~~~ (중략).. 어째 이것들은 꼭 들으라고 그러는거 같아~~"
https://blog.daum.net/samsongeko/7843
"1000만원..."
"한방에 끝내시게요...??"
"쫄리면 뒤지시던가~~~"
[주간증시전망]‘어닝시즌’ 돌입... 실적 보며 더 나간다...
지난주 삼성전자·LG전자 시작으로 1Q 실적 발표 본격화...
코스피 순이익 추정치 긍정적, 경기민감주 등 업종 주목...
4월 들어 외국인 1.9조원 순매수, 박스 상단 돌파도 기대...
지난주 3100선 박스권에서 움직이던 코스피 지수가 이번 주 본격적인 1분기 ‘어닝 시즌’에 돌입한다. 코로나19 이후 1분기 이익 전망치가 상향조정되는 등 긍정적인 기대감이 감도는 만큼 증권가에서는 실적 위주의 접근이 유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에 4월 들어 외국인이 다시 증시에 돌아오고 있어 이들의 수급이 지수의 상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예상도 제기됐다. 1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4월 5~9일) 코스피 지수는 전 주 대비 0.61%(19.08포인트) 오른 3131.88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 초 미국 뉴욕 증시는 그간 변수로 작용했던 10년물 국채 금리가 다소 안정화되고, 고용지표와 서비스업 심리지수 등 각종 경제지표의 호조에 따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이에 코스피 지수 역시 소폭 상승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3100선에서 맴돌고 있다.
지난주 대장주 삼성전자(005930)를 비롯, LG전자(066570)가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이번 한 주 지수의 향방을 가를 변수는 ‘1분기 실적 발표’가 될 예정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7일 1분기 영업이익 9조3000억원으로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8조9000억원)를 4.4%가량 웃돌며 ‘실적 장세’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LG전자 역시 1분기 1조5178억원의 영업이익 잠정치를 기록, 종전 최대 기록을 12년 만에 다시 썼다.
한 대훈 SK증권 연구원은
“국내외 증시의 실적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며 “코로나19 이후 유동성 장세가 그간 시장을 이끌어왔다면 이제는 실적 중심의 펀더멘털 장세로 넘어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1분기 코스피의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31조5000억원 수준으로, 지난 2018년과 2017년에 이어 세 번째로 그 규모가 크다.
한 연구원은 “최근 매크로 데이터에서도 대외 수요와 수출 증가 모멘텀을 확인한 만큼 실적 장세를 맞은 국내 증시의 매력도는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실적 시즌을 맞아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 매수세도 주목할 만한 요소로 꼽혔다. 외국인은 이달 지난 8일까지 연속 순매수, 9일을 제외하고 모두 순매수세를 보였다. 이달 들어서의 매주 규모만 1조9796억원을 기록, 2조원에 육박한다.
김 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주식시장은 외국인을 중심으로 박스권 상단의 돌파가 가능할 것”이라며 “경기회복 전망 등이 외국인 자금 유입에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짚었다. 다만 그는 “보다 뚜렷한 상승을 위해서는 개인 자금의 적극적인 유입 역시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지수의 예상 밴드를 3100~3220포인트로 제시했다.
업종별로는 수출 증가 등의 모멘텀을 확인하며 접근할 것이 유효한 전략으로 제시됐다. 한 연구원은 “대외 정책과 실적 모멘텀이 좋은 반도체와 화학(배터리), 철강 등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박 석현 KTB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지난 2017년에는 IT를 중심으로 편중된 이익 전망 상향이 나타났지만 올해는 업종 자체가 확산되고 있다”며 “경기민감업종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주 발표될 주요 경제 지표로는 △한국 3월 수출물가지수와 실업률 (14일) △4월 금융통화위원회(15일) △미국 3월 소매판매(15일) △중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과 산업생산, 소매판매 (16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