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MOI-장기대박계획

(지난주 합본분)KOSDAQ 투자, 일희일비하다가 주후반 이틀간 상승세로 마감... 두 제자놈들의 선방과는 달리 그 1000p 천스닥 재진입 한번 보기 되게 힘드네요~~~

B.S - 이번주도 수석 재산관리 집사님이 부재중인 관계로 대표이사님의 주요 저장된 글도 주요 블로그/SNS 대리 관리인(이 글의 주요 공유기인 대표이사님의 비지니스폰도 주말동안 보유중...)인 GI IR 실장 윤 숙영인 제가 올리겠습니다...

 

 

[시즌2:본운용 156-14주째]두 제자놈들의 수익금을 두 제자 성공보수 지급후에 두번째 분기는 300만원(3천만원)의 2배수인 600만원(6천만원)으로 하계운용 시작...

https://blog.daum.net/samsongeko/11051

KOSDAQ 투자, 시즌2 두번째 분기도 본격화됐고요... 지리해서 그렇지~~~ 수석제자놈 제약/바이오주 접근 시작에 차석제자놈의 시작 선방에 일단 분위기는 괜찮습니다아이~~~

https://blog.daum.net/samsongeko/11050

 

KOSDAQ 투자, 시즌2 두번째 분기도 본격화됐고요... 지리해서 그렇지~~~ 수석제자놈 제약/바이오주

B.S - 이번주도 수석 재산관리 집사님이 부재중인 관계로 대표이사님의 주요 저장된 글도 주요 블로그/SNS 대리 관리인(이 글의 주요 공유기인 대표이사님의 비지니스폰도 주말동안 보유중...)인 G

blog.daum.net

 

[마감]개인 매수세 힘입어 ‘990p선’ 재돌파...

 

 

( 최근 3개월간 KOSDAQ 일봉 그래프 )

 

 

( 당일 코스닥 일봉 그래프 ) ​

 

 

앞으로 3년간 당일마감 시작전 항상 영화 알렉산더 OST의

'The Drums Of Guagamela'로 시작합니다... ​

 

 

전글이후 이 시간까지 5개 SNS 코멘트는 아래 사이트들에 있습니다... 주요 4개 SNS(트위터, 인스타그램, 네이버 밴드, 카카오스토리) 실시간 기록물인 이곳은 앞으로 아래 주소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똑같은 사진, 동영상, 글들을 똑같이 올리고 있으며 장중 실시간 상황을 알고 싶다면 이곳중 하나를 선택하시어 오시면 회원내지 친구 신청은 언제든지 승인하겠습니다... 조만간 이 4곳을 통합하는 장중 주식투자실전 상황을 유튜버로서 생중계도 합니다...

 

 

"아무튼 웹 3.0 의 대세는 사진보다는 동영상이네요~~~^^ 공지사항 하나~~~^^ 현재 LMOI/MOAI를 중심으로 신축년 전격 진행될 두 계획(Two Plan:MOI/MMOI)과 ‘빅 거래(Big Trade)등 주요 계획을 리얼하게 생중계할 수 있는 유튜브 개인방송을 GI 인터넷(홍보)팀장과 준비중~~~^^ 이게 실시간 장세/시황 중계와 KOSDAQ 업태/테마별 빠른 순환매 동향 전달, 기업/종목 소개에 적합할 듯해서리~~~^^ 암튼 못생겼지만 장중 정말로 눈돌아가는 제 주식투자실전 진두지휘 모습을 조만간 영화 “머니 몬스터"의 조지 클루니식으로 박진감 있게 전달해 보죠~~~^^ 추후 3개 블로그 고정 친구/이웃/Bloger 1551명(2021.6.3)/5개 SNS 사이트에 공지합니다. 게코(Gekko)"

 

네이버 밴드 https://band.us/band/59958747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samsongeko

트위터 https://twitter.com/samsongeko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samsongeko

 

암튼 장중 어떤 투자 자료및 사실을 보고 정보투자를 일삼는지 또 주말 일상사 와 그 재테크 중심 증권투자상 주식투자실전을 위하여 어떤 상념들을 하면서 주요 정보들을 모으는지는 말입니다... 가치투자가중 유일무이하게 먹어주는 전설적인 투자가 피터 린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늘상 생활속에서 주식을 찾아라..." 이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앞으로 이 글을 통해서 3년간 다시한번 100억원을 만들어내는 투자 과정과 인간적 고민들을 여실히 그대로 이곳에 같이 담겠습니다...

 

 

지난 3년간 300만원을 가지고 100억원을 만들어놓은 수석 제자 회색늑대님은 시즌2 안정화되면 더 중요한 다른 일을 맡길 것입니다... 그리고 미래차와 연결된 중소형IT기술주 중심의 장비/부품/소재를 전문적으로 다룰 한국사이버애널리스트협의회 소속의 재야고수이자 전업투자가였는데 저한테 스카웃 당한 더 젊은 20대 후반의 새로운 차석 제자놈 아이오닉님에게 300만원(연결된 부계좌 3천만원)을 3년(2021.3~2024.2) 12분기동안 맡겼고요... 시즌1의 중소형 제약/바이오(Bio)주를 보셨으니, 이제 시즌2를 보셔야죠~~~

 

 

현재 두 계획(Two Plan:MOI/MMOI)의 2021년 시행을 앞두고 두 계획의 보증보험이자 제 입장에서는 종신보험격인 장기대박계획(LMOI) 본운용 시즌2가 2021년3월초 시행에 들어가 이제 첫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주계좌 3백만원(부계좌 3천만원 병행운용)을 가지고 3년 12분기 분기당 +100%의 우상향 복리 증진으로 시행되는 장기대박계획(LMOI) 본운용 첫번째 분기에서도 그간 3년동안 제약/바이오(Bio) 중심의 투자에서 벗어남니다...

장기대박계획(LMOI) 첫번째 분기 본운용을 시작한 2021년3월초이후 전체 적인 주계좌수익률은 +1000.5%(원금 300만원 기준지수 100대비 1100.48, 연결된 부계좌 원금 3000만원 기준지수 100대비는 218.88)로 춘계운용 마감입니다...

기본적으로 장기대박계획(LMOI)은 3개월에 +100%를 우상향 복리증진으로 12분기 연속 작렬시키는 작업입니다... 시즌2에서는 두 명의 주운용자(수석제자 회색늑대님, 차석제자의 아이오닉님)가 제 통제를 받아가면서 시작합니다...

 

 

아래는 시즌2 3년 두번째 분기 하계운용을 본격화한 지난주 이 글 관련하여 올린 코멘트들입니다...​

 

"오전에 오전회의가 있었나 이제서야 갖다주네요~~~^^ 장기대박계획(LMOI) 수석제자놈 회색늑대 주계좌 셀리드, 한국파마를 다시 다 빼고 이연제약, 루트로닉을 그 자리에 넣고 7:3의 비율로 전격 교체매매후 홀딩중~~~^^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반도체 이오테크니스, 피에스케이를 다 빼고 이엔에프테크놀러지, 에스엘을 그 자리에 넣고 6:4의 비율로 전격 교체매매후 보유중~~~^^ 이라는 두 제자놈들의 보고가 진즉 들어와 있네요^^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개장후 오전장 운용상황입니다..."

"밋밋한 코스닥에서 선방중이네요~~~^^ 장기대박계획(LMOI) 수석제자놈 회색늑대 주계좌 이연제약, 루트로닉중 이연제약을 목표가 매도후 빼고 그 자리에 안트로젠을 넣고 7:3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홀딩중~~~^^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이엔에프테크놀러지, 에스엘을 6:4의 비율로 보유중~~~^^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개장후 오전장 운용상황입니다..."

"두 제자놈들 셀리드, 쎄미시스코로 하계운용 초반부터 속앓이중~~~^^ 장기대박계획(LMOI) 수석제자놈 회색늑대 주계좌 안트로젠, 루트로닉중 루트로닉을 빼고 그 자리에 피플바이오을 넣고 7:3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홀딩중~~~^^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이엔에프테크놀러지, 에스엘중 이앤에프를 빼고 그 자리에 이녹스첨단소재를 넣고 6:4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보유중~~~^^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개장후 오전장 운용상황입니다..."

"두 제자놈들 셀리드, 쎄미시스코로 하계운용 초반부터 속앓이중~~~^^ 장기대박계획(LMOI) 수석제자놈 회색늑대 주계좌 안트로젠, 피플바이오중 피플을 목표가 매도후 그 자리에 차바이오텍을 넣고 7:3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홀딩중~~~^^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이녹스첨단소재, 에스엘중 에스엘을 빼고 그 자리에 PI첨단소재를 넣고 6:4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보유중~~~^^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개장후 오전장 운용상황입니다..."

"(파주 용미리 현지에서)수석제자놈, 월초반 주춤하더니 제약/바이오주로 연타석이네요~~~^^ 장기대박계획(LMOI) 어제까지 +41.7%를 기록중인 수석제자놈 회색늑대 주계좌 안트로젠, 차바이오텍중 안트로젠도 목표가(?) 매도후 그 자리에 헬릭스미스를 넣고 7:3의 비율로 부분 교체매매후 홀딩중~~~^^ 하계운용 +27.3%를 현재까지 기록중인 차석제자 아이오닉 부계좌 이녹스첨단소재, PI첨단소재를 6:4의 비율로 보유중~~~^^ GPMC 여의도 트레이딩센터 주간장 마지막 금요일 개장후 오전장 운용상황입니다..."

 

 

[ GPMC - LMOI 주계좌 ]​

 

 

( 최근 3개월간 헬릭스미스의 일봉 그래프 )

 

 

( 최근 3개월간 차바이오텍의 일봉 그래프 )

 

 

[ GPMC - LMOI 부계좌 ]

 

 

( 최근 3개월간 이녹스첨단소재의 일봉 그래프 )

 

 

( 최근 3개월간 PI첨단소재의 일봉 그래프 )

 

 

개인 홀로 순매수, 기관·외국인 순매도...

시총 상위株 상승 우위... 오락문화↑

 

11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6포인트(0.34%) 오른 991.13에 장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989선에서 출발해 장 초반 993선까지 올랐지만 990선 초반대에서 움직이다 마무리됐다.

이 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5월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됐다”고 짚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2128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1217억원, 기관은 925억원을 각각 팔았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2156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오락문화가 1.90%, 종이목재가 1.14% 상승했다. 유통, 통신서비스, 일반전기전자, 비금속, 금융, 통신방송서비스, 방송서비스, 반도체, 통신장비 등이 1% 미만으로 상승했다. 운송과 기계장비, 건설, 의료정밀기기, 금속 등이 1% 미만으로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상승 우위를 보였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셀트리온제약(068760)이 1% 미만으로 올랐다. 카카오게임즈(293490)펄어비스(263750), CJ ENM(035760), 에이치엘비(028300) 등이 1% 미만으로 상승했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이 2%대 오름세를 보였고, SK머티리얼즈(036490)가 1%대 상승했다. 휴젤(145020)은 5% 가까이 하락했다.

 

현대차·포스코·SK·효성 등 4개 그룹이 수소기업협의체 설립을 논의했다는 소식에 수소차 테마주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자동차 부품업체 네오티스(085910)가 15.88% 올랐다. SBS(034120) 실적 기대감이 돋보이면서 SBS콘텐츠허브(046140)도 12.66% 상승했다.

 

개별종목으로는

 

상한가 한화에스비아이스팩(317320), 하나머스트7호스팩(372290)등 스팩주가 여전히 시장의 관심속에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줬다.

한편 이날 거래량은 14억9888만주, 거래대금은 9조1276억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2개를 포함해 786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종목 없이 514개 종목이 내렸다. 보합권에 머문 종목은 113개였다.

 

 

기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업종 강세 우위... 기타서비스 +2%↑

 

10일 코스닥 지수가 외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상승 마감했다. 외국인이 5거래일 만에 순매수세로 돌아선 가운데 기관이 3000억원대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92%(8.98포인트) 오른 987.77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 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시장 금리는 이미 하반기 인플레이션을 선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시적 물가 압력이 사라지면 내년 물가는 다시 내려올 것이며 자산가격은 미래를 반영하기에 올해 하반기의 자산가격은 오히려 내년 물가 하락을 반영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3728억원 어치를 홀로 팔았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35억원, 3415억원 어치를 사들였다.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5거래일 만에 순매수세로 돌아섰다. 기관이 3000억원 넘는 순매수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12월28일 6464억원 순매수 이래 처음이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총 3073억원 순매수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오름세 우위였다.

 

기타서비스, 의료정밀기기는 2%대 상승했으며 제약, 종이목재, 섬유의류, 소프트웨어, 일반전기전자 등이 1%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오락문화, 유통, 정보기기, 반도체, 방송서비스, 건설, 인터넷이 1% 미만 올랐다. 반면 금융은 1% 넘게 하락했으며 금속과 운송장비부품, 통신서비스, 컴퓨터서비스, 비금속은 1% 미만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강세였다.

 

에코프로비엠(247540)알테오젠(196170)이 4% 넘게 올랐으며 펄어비스(263750)가 3%대, 씨젠(096530)스튜디오드래곤(253450)은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셀트리온제약(068760), 에이치엘비(028300), 엘앤에프(066970), 케이엠더블유(032500)가 1%대 상승했으며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카카오게임즈(293490), CJ ENM(035760), SK머티리얼즈(036490)는 1% 미만 올랐다. 휴젤(145020)티씨케이(064760)는 1% 미만 하락 마감했다.

 

개별종목별로는

 

차바이오텍(085660)이 신경 전구 세포 증식 방법과 신경질환 체료용 조석물에 관한 유럽 특허를 취득했다는 소식에 7% 강세를, 에이치엘비파워(043220)가 최대주주 변경, 이후 바이오 사업 추진 등에 나선다는 소식에 전날 상한가에 이어 2.4%대 상승마감했다.

한편 이날 거래량은 17억8054만주, 거래대금은 10조9735억4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상한가 1개를 포함해 723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종목 없이 578개 종목이 내렸다. 보합권에 머문 종목은 112개였다.

 

 

외국인 '팔자'... 개인·기관 동반 '사자'

시총상위주 하락 우위... 셀트리온주 -2~-3%대↓

업종 전반 하락세... 유통·화학·반도체 -1%대↓

 

9일 코스닥이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도 하락 마감했다. 오는 10일 선물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외국인 선물 수급에 따라 하락폭이 확대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7.33포인트(0.74%) 내린 978.79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986선에서 출발해 장 초반 상승하다 이내 하락 전환해 980선을 하회했다. 2거래일 만에 하락전환한 것이다.

서 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오후 새로운 이슈보다는 선물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외국인 선물 수급에 따라 하락폭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며 “외국인 선물 동향에 따라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장세는 내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142억원을 순매도 했고 개인이 1011억원, 외국인이 149억원 각각 순매수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957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하락 우위였다.

 

유통, 비금속, 화학, 반도체가 1%대 내리고 통신서비스, 종이·목재, IT H/W, 제약, IT부품, 소프트웨어, 출판·매체복제, 건설, 기계·장비, 일반전기전자, 통신장비, 제조, 운송, 금융, 인터넷, 정보기기가 1% 미만 하락했다. 섬유·의류, 의료·정밀기기, 디지털컨텐츠, 오락문화, 음식료·담배, 운송장비부품은 1% 미만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하락 우위를 보였다.

 

대장주인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셀트리온제약(068760)이 각각 2%대, 3%대 하락했고 에코프로비엠(247540), SK머티리얼즈(036490), 씨젠(096530)이 1%대 내렸다. 에이치엘비(028300), 스튜디오드래곤(253450)은 1% 미만 하락했다.

 

카카오게임즈(293490), 펄어비스(263750), CJ ENM(035760)은 1% 미만 상승했다.

 

휴젤(145020)은 9%대 급등했다. 춘천 히알루론산(HA) 필러 신공장을 완공하며 생산규모를 확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상승폭을 키웠다. 휴젤은 전일 춘천 HA 필러 신공장을 완공하고 기존 생산 규모의 2배에 달하는 연간 800만시린지 규모의 HA 필러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이날 코스닥 거래량은 16억4497만주, 거래대금은 10조5469억원을 기록했다.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 496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종목 없이 850개 종목은 내렸다. 70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기관 홀로 '사자'... 업종별 혼조세...

18년 만의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에 바이오 업종 '강세'

시총 상위株 혼조세... 셀트리온제약 4%·알테오젠 +6%대 상승...

 

8일 코스닥은 강보합권에서 마감했다.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눈치 보기 장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18년 만에 알츠하이머 신약을 신속 승인하면서 제약·바이오 업종은 강세를 보였다. 반면 그간 상승세를 탔던 소재 관련 업종은 하락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0.26포인트(0.03%) 오른 986.12에 마감했다.

간밤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지수가 0.4% 하락하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도 0.1% 내렸다. 나스닥은 0.5% 올랐다. 오는 10일 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금리 인상을 용인한다는 얘기에도 신경을 쓰는 모습이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인터뷰에서 “현재보다 약간 금리가 높아진다 해도 이는 미국 전체적으로 보면 플러스일 수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현상에 그치겠지만 연말께는 3%에 도달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FDA가 18년 만에 미국 제약사 바이오젠과 일본 제약사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승인했다. ‘아두카누맙’으로 이름 붙여진 이번 신약은 뇌에서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해로운 단백질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 게 목표다.

 

다만 후속 연구에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하면 신약은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114억원, 외국인이 194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기관은 551억원 순매수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이 25억원, 비차익이 372억원 각각 순매수를 기록 전체 398억원 순매수로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기타서비스, 유통, 제약, 컴퓨터서비스, 음식료·담배, 섬유·의류, 운송장비·부품, 통신서비스 등 순으로 올랐다. 반면 금속, 기타 제조, 오락·문화, 반도체, 건설, 통신장비, IT H/W, 정보기기, 기계·장비, 금융, 종이·목재, IT종합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혼조세를 보였다.

 

대장주인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88%)를 포함해 셀트리온제약(068760)(4.14%), 에코프로비엠(247540)(0.28%), 펄어비스(263750)(1.90%), 알테오젠(196170)(6.72%)는 상승 마감했다. 반면 카카오게임즈(293490)(-1.07%), SK머티리얼즈(036490)(-1.16%), 씨젠(096530)(-0.48%)는 하락 마감했다. CJ ENM(035760)에이치엘비(028300)는 움직이지 않았다.

 

개별 종목별로는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 소식에 피플바이오(304840)(13.70%), 퓨쳐켐(9.48%), 펩트론(1.17%) 등이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거래량은 18억2502만주, 거래대금은 10조4309억원을 기록했다.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 467개 종목이 올랐고 858개 종목은 내렸다. 91개 종목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장초반 990p선까지 상승하다 하락 전환...

대부분 업종 하락... 건설업종만 +3%대 상승...

시총상위주 혼조세, 엘앤에프 +6% 이상 강세...

 

7일 코스닥 지수가 980선에서 하락 마감했다. 장초반 코스닥지수는 990선까지 올라 강보합세를 보이다 이내 하락 전환했다. 개인과 기관의 사자에도 외국인의 ‘팔자’에 지수는 이틀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2포인트(0.17%) 내린 985.86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989.16으로 전 거래일(987.58)보다 0.16%(1.58포인트) 상승 출발했다.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100억원, 28억원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에도 지수 상승을 이끌지는 못했다. 외국인은 991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과 비차익거래를 합쳐 888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업종별로 보면 하락 업종이 상승 업종보다 많았다.

 

통신장비, 유통이 1% 이상 밀렸고, 통신서비스, 제약, 섬유·의류, 종이·목재, 금융, 운송장비·부품, 정보기기, 기타제조 등이 하락 마감했다. 화학, 컴퓨터서비스, 디지털컨텐츠, 제조, 출판·매체복제 등이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에 반해 건설업종이 3% 이상 올랐고 금속이 1% 이상 상승 마감했다. 이어 운송, 방송서비스, 기계·장비, 일반전기전자, 오락·문화, IT부품, 소프트웨어, 비금속 등이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59%), 에이치엘비(028300)(-1.49%), 씨젠(096530)(-1.43%), 셀트리온제약(068760)(-1.24%)이 1% 이상 밀렸다. 이어 CJ ENM(035760), 스튜디오드래곤(253450)도 하락 마감했다. 반면 엘앤에프(066970)는 6% 이상 오름세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양극재 제조기업 엘앤에프는 미국 소재 글로벌 전기차(EV) 업체와 이차전지 양극재용 핵심 소재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어 펄어비스(263750), 카카오게임즈(293490), 휴젤(145020), 에코프로비엠(247540)은 감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알테오젠(196170)솔브레인(357780)은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거래량은 19억2317만1000주, 거래대금은 9조459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우리기술(032820), 보성파워텍(006910), 비에이치아이(083650), 서전기전(189860) 4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상한가 4개를 비롯해 529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종목 없이 791개 종목이 내렸다. 96개 종목은 보합으로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