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말이다... 전혀 야당의 폭거라는 생각이 안들고 있는 중이다... 전국민들이여, 우린 1987년6월 민주화 항쟁과 촛볼 혁명을 다시 준비해야 한다. 도저히 안될거 같다...
b.s - 앞으로 11일(5.1~5.11)간 수석 재산관리 집사님이 '가정의 달' 부재중인 관계로 대표이사님의 주요 저장된 글은 주요 블로그/SNS 대리 관리인(이 글의 주요 공유기인 대표이사님의 비지니스폰도 보유중...) GI 인터넷(홍보)팀장인 제가 올리겠습니다...
정치권이 스스로 깨닫지 못하니 국민들이 나서야할때다...
이 상중하 모질이들 머리속에는 현 국가안위나 비상경제 상황 극복, 국민들에 대한 생각이 1도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난 이야기했다... 이 모든 사단의 중심... 내란 동조당 "국민의짐"의 정당해산만이 답이라고 말이다...
비상계엄을 인정하고 법원에 대한 폭동등 국가전복을 꿈꾸는 이런 것들이 무슨 정당활동을 하는지 난 이해가 되지 않을 뿐더러, 전 광훈이같은 개새끼가 거리를 활보하고
내란으로 국가 전복을 꿈꾸는 내란수괴가 파면되고도 버젖히 수감되지 않은채 온갖 망언을 일삼고 있는 이 작금의 사태가 정말로 싫다... 한달동안 대통령도 필요없고 국무총리도 필요없으며 경제부총리도 필요없다...
이제 교육부총리인가...
더이상 초중고 학생들과 2030 젊은이들이 물들지 않게 전국에 극우단체들에 대한 시위 금지부터 시작한다... 진정으로 표현의 자유를 넘어선 곳은 이곳이다...
국가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온갖 유언비어와 흑색선전이 트위터, 유튜버등 SNS를 도배를 하고 있으며 유튜브 수익에 미처 눈돌아간 극우 꼴통들이 험중, 험한 발언을 일삼고 있는 중이다...
외교적 망신에 대외동포/한상들에게 대한 위협을 가하고, 사실무근의 야당에 대한 비판과 비난의 흑색선전을 준동하면서 국가를 흔들고 있고 이것을 이용하고 있는 곳이 국민의짐이다...
하여튼 이 국민의짐 정당은 해산하라... 현재 전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이것이다...

최 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국회에서 본회의 표결 절차를 마친 뒤 회의장를 떠나고 있다.


현직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나 주요 대권주자에 대한 선거법 위반등 중차대한 사건에 대한 판결은 직접 국민투표에 붙혀야 한다... 민주주의 발상지 고대 그리스식 직접 투표....
https://samsongeko1.tistory.com/14157
이건 극우 꼴통, 보수들의 쿠테타다... 다시한번 한국 경제/산업/금융 불확실성 최고조... 사건의 본질인 토건족들의 이권을 국가로 환속시키려는 이 주자의 노력은 게무시했다...
https://samsongeko1.tistory.com/14156

(종합)한 덕수 이어 최 상목까지 내각 '줄사퇴'… 이 주호 권한대행 체제로...
韓 대행, 1일 최상목 부총리 사표 수리...
"직무 계속 수행할 수 없게 돼 국민 여러분께 죄송"
정부 직제순 이 주호 교육부 장관이 권한대행 맡게 돼...
기재부 장관 일정, 1차관이 대신 수행...

최 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밤 자리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후 10시 28분께 전격적으로 사의를 밝혔다. 우 원식 국회의장이 국회 본회의에서 최 부총리 탄핵안 상정을 선언하기 약 4분 전이다. 관련 의사일정 동의안건이 상정된 시점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약 20분 뒤 최 부총리의 사표를 수리했다. 최 부총리는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을 위해 국회 본회의에 참석 중이었다. 사의표명 소식이 알려진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본회의장을 빠져나갔다.
최 부총리는 별도로 기자들에게 배포한 메시지에서 "대내외 경제 여건이 엄중한 상황에서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게 돼 사퇴하게 된 점을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 탄핵안은 지난 3월 21일 민주당 주도로 발의돼 지난달 2일 본회의에 보고됐다가 법사위로 회부됐다.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 부총리가 헌법재판소 결정에도 당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아 국회 권한을 침해했다는 것이 탄핵소추 사유다.
법사위는 지난달 16일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탄핵소추 사건 조사' 청문회를 열었으나 조사결과 보고서는 채택하지 못한 채 청문회를 종료했다. 최 부총리는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이은 윤석열 정부의 두 번째 경제부총리다.
2024년 1월 취임 이후 '역동 경제'를 기치로 걸고 민간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기업 투자 지원 확대, 상속세 개편 등을 추진했지만 '부자 감세'라는 비판도 받았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덕수 대행이 잇달아 탄핵소추 되자 88일간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권한대행 기간 국무총리 직무대행, 기존의 '경제 컨트롤타워'에 더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까지 '1인4역'을 맡으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국회가 추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중 2명만 임명했다가 여야 양측으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결국 국회에 탄핵 소추안이 상정되는 불씨가 됐다.
최 부총리는 지난 3월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뒤 다시 경제사령탑으로 복귀해 한미 간 '2+2 관세협의' 등 경제현안 해결에 총력을 다했다.
하지만 이날 국회를 통과한 13조8천억원의 필수추경을 끝으로 1년 4개월여의 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마무리 짓게 됐다.
한덕수 대행이 사퇴한 날 공교롭게도 최 부총리마저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결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무위원 서열 4순위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맡게 됐다. 헌정사상 초유의 '대행의 대행의 대행 체제'인 셈이다.
연합뉴스 민 경락 기자
